서정아트프린팅

News

Simon Ko : Mellow Island
Mellow Island 서정아트는 2024년 3월 15일부터 4월 21일까지 올해의 봄을 여는 전시로 사이먼 고의 개인전《Mellow Island》를 선보인다. 사이먼 고는 일상에서 마주하는 정서적 교류의 단편이나 감정적 충만의 순간을 포착한다. 작가 고유의 인물 표현 방식과 화면 질감은 그가 경험한 관계로부터 비롯된 여러가지 감정들의 반사체이다. 사랑, 신뢰, 미움, 좌절 등 요동치는 감정의 기폭(旗幅)은 이번 전시에서 멜로우 아일랜드라는 가상의 섬을 향해 항해한다. 멜로우 아일랜드는 너무 멀고 찾기 어려워 아무리 노를 저어도 절대 도달할 수 없는 환상 속 섬이다. 사람들은 달콤하게 무르익은 무언가를 찾아 떠나지만 그들은 결코 섬을 발견할 수 없다. 대신 멜로우 아일랜드는 섬을 찾고자 하는 모두에게 관계의 성숙이라는 선물을 보상으로 준다. 따라서 이 여정은 실패로 끝날 수 없으며, 오히려 그 자체로 무르익는 것이다. 사이먼 고의 화면은 일상적인 순간을 특별한 경험으로 전환시킨다. 가구를 사러 인테리어 샵에 가는 일, 누군가를 위해 파티 준비를 하다 실패했던 기억, 여행지의 호텔 방 안에서 시간을 보내는 하루 등은 지극히 사소하고 내밀한 일상이다. 작가는 이 보편적인 순간을 실제와 환상을 오가며 다채롭게 재구성한다. 그의 작품은 사실에 기반한 구체적인 상황을 묘사하면서 동시에 상상에 기반한 배경이나, 소품을 병치한다. 또한 작가는 촉감, 즉 손의 흔적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텍스처를 평면에 구현하며 공감각적인 입체적 감상을 유도하면서도 원근감이나 소실점에 개의치 않은 듯한 화면 구성을 통해 회화가 가진 평면성에 충실한 인상을 준다. 이같이 모든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사이먼 고의 장치는 작품 안팎에 담긴 이야기를 읽어내고 싶은 심상을 자극하며 작품에 담긴 사연, 인물들 간의 관계에 몰입하게 한다. 이번 전시는 관객이 스스로를 이입시킬 수 있는 보편적인 상황을 제시하며 서서히 환상으로 이끄는, 사이먼 고의 확장된 세계로의 초대이다. 특히 전시장 초입, 공간을 압도하는 월 페인팅(Wall Painting)은 사이먼 고 작품에서 돋보이는 특유의 질감 표현 재료인 모델링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캔버스를 벽 너머까지 확장시켰다. 그 공간을 점유하는 인물 조각은 회화 작품 속 주인공이 잠시 걸어 나와 휴식을 취하는 듯 생동한다. 소용돌이 치는 거대한 이미지는 이 여정이 쉽지만은 않을 것을 짐작하게 하면서 동시에 인물에게 이입하여 작가가 제안하는 환상의 세계에 본격적으로 투신하고 흠뻑 물들을 채비를 하게 한다. 위태로운 배에 몸을 싣고 떠나는 사이먼 고의 여정에는 두렵지만 아름답고, 연약하나 용감한 무언가가 있다. 전시작가 사이먼 고 ―SEOJUNG ART is delighted to welcome the onset of spring with ‘Mellow Island’, a solo exhibition by Simon Ko, running from March 15 to April 21, 2024. Simon Ko captures fragments of emotional exchange and moments of fulfillment encountered in daily life. His distinctive portrayal of figures and the equally unique texture of his canvases reflect the myriad emotions born from his experiences with relationships. In this exhibition, the turbulent emotions of love, trust, hatred, and frustration unfurl their flags and set sail toward the imaginary shores of 'Mellow Island’.Mellow Island is an unattainably distant and elusive isle of fantasy, one that no amount of rowing can ever reach. Individuals embark on quests for that which is sweetly ripened, yet the island remains perpetually undiscovered. Instead, Mellow Island rewards seekers with the gift of relational maturity. Thus, this journey never ends in failure; rather, it matures by itself.Simon Ko transforms everyday moments into extraordinary experiences. Mundane activities like visiting an interior shop to buy furniture, reminiscing about a failed party preparation, or spending a day in a hotel room while traveling are elevated to deeply intimate and significant facets of daily life. The artist reimagines these common moments with vividness, weaving reality with fantasy. His work juxtaposes factual scenarios with imaginative backgrounds or objects and crafts textures that accentuate tactile traces, fostering a synesthetic, three-dimensional appreciation. Moreover, his compositions, seemingly indifferent to perspective, honor the inherent flatness of painting, creating an impression of adherence to the medium's planarity. Ko’s approach blurs all boundaries, provoking a desire to uncover the narratives within and around his pieces, drawing viewers deeper into the depicted stories and relationships.‘Mellow Island’ extends an invitation into Simon Ko's expansive world, presenting universally relatable situations that gradually guide the audience into a realm of fantasy. At the exhibition's entrance, a captivating wall painting crafted with modeling paste a medium characteristic of Ko's unique textural expression propels the canvas beyond the confines of the wall. Sculpted figures within this space appear to momentarily step out of the paintings for a brief respite, imbuing the scene with life. The expansive, swirling images hint at a challenging journey, yet prime the audience for complete immersion in the artist's envisioned fantasy world. Embarking on Simon Ko's journey aboard a precarious boat embodies a blend of beauty and fear, capturing something simultaneously fragile and brave.Artist Simon Ko 일자 2024. 03. 15 ~ 2024. 04. 21 장소 서정아트 서울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47길 12  
03-04
Oh Dakyo : Undine, 반얀트리 서울
반얀트리 서울 클럽동에서 2024년 첫 번째 아티스트 탐색 프로젝트로 흙과 모래를 주요 매체로 하여 평면 작업을 선보이는 오다교(b. 1991) 작가의 작품을 소개합니다. 프랑스의 Université Paris 1 Panthéon-Sorbonne에서 조형 예술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대학원에서 동양화로 석사 전공하였습니다.2024년 1월 18일부터 3월 5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오다교 작가의 여러 시리즈 중 물을 주제로 작업한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바다에서 나고 자란 작가에게 물은 만물의 근원을 이루는 흥미롭고 신령스러운 기운이자 영원한 생명 원칙으로서 존재합니다. 작가의 경험과 상상력을 빌어 탄생한 물의 감각, 물을 다루는 원칙은 어떤 회화적 메시지로 기록되었는지 이번 전시를 통해 마주해 보고자 합니다.작가는 창조의 근원인 흙을 재료로 하여 흙이나 모래와 같은 자연 요소들의 우연성을 구현해 냅니다. 입구의 still(112X194cm) 연작은 작가의 영혼이 썰물과 함께 왔던 곳으로 돌아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듯 넓게 퍼집니다. 밀물과 썰물의 드나듦처럼 한 층씩 쌓이고 닦여나간 표면의 부드러운 납빛은 무채색 모래 향기가 배어있습니다. 무색이면서도 모든 색깔이 함축된 잿빛은 바다에 내재한 영적이고 의미심장한 본질을 보여줍니다.천진한 힘을 품은 물결이 우아하게 굽이치는 on the sea(53X45.5cm) 시리즈는 반짝이는 푸른 모래 물결의 유연한 움직임을 단단하고 투명하게 보여줍니다. 매끈하고 동그란 수정 같은 알갱이와 점보다 잘고 보드라운 흙가루를 아교와 배합하여 촉촉하게 얹어냅니다. 해변가의 모래가 바람과 햇빛에 자연 건조하듯 마포 위의 모래흙은 겹겹의 에너지를 품고 너른 물결이 되고, 해수면의 잔잔한 우아함과 벨벳 같은 반짝거림은 꿈결처럼 평온하게 표현됩니다.오다교 작가의 작업은 존재 차원에서의 완전한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귀향을 향한 바람을 나타냅니다. 완전한 세계에 대한 갈망을 일반인보다 짙게 느끼는 듯한 작가에게 바다는 영혼의 조용한 힘이자 강인한 존재 방식입니다. 작가의 논리와 운율로 펼쳐진 장지 위의 바다는 우리에게 그 너머 어딘가 근원을 바라보게끔 하는 성취를 이뤄냅니다. 인류의 기묘하고도 복잡한 사태는 바다의 은은하지만 포괄적인 규모 앞에선 장난이나 농담처럼 여겨집니다.주요 개인전으로는 <Oh Dakyo : Undine> (서정아트, 서울, 2023), <am is are> (파이프 갤러리, 서울, 2023), <You Will Forever and Ever> (우석갤러리, 서울, 2019)등이 있으며, <Breath of Spring> (파이프 갤러리, 서울, 2022), <발견의 아름다움>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2022), <RENOUVEAU> (Gallery Nesle, 파리, 2015) 등의 그룹전에 참여하였습니다. 작품은 서울미술재단, 표 갤러리 등의 주요 기관 및 갤러리에 소장되어 있습니다.반얀트리 서울 클럽동에서 2024년 첫 번째 아티스트 탐색 프로젝트로 흙과 모래를 주요 매체로 하여 평면 작업을 선보이는 오다교(b. 1991) 작가의 작품을 소개합니다. 프랑스의 Université Paris 1 Panthéon-Sorbonne에서 조형 예술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대학원에서 동양화로 석사 전공하였습니다.2024년 1월 18일부터 3월 5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오다교 작가의 여러 시리즈 중 물을 주제로 작업한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바다에서 나고 자란 작가에게 물은 만물의 근원을 이루는 흥미롭고 신령스러운 기운이자 영원한 생명 원칙으로서 존재합니다. 작가의 경험과 상상력을 빌어 탄생한 물의 감각, 물을 다루는 원칙은 어떤 회화적 메시지로 기록되었는지 이번 전시를 통해 마주해 보고자 합니다.작가는 창조의 근원인 흙을 재료로 하여 흙이나 모래와 같은 자연 요소들의 우연성을 구현해 냅니다. 입구의 still(112X194cm) 연작은 작가의 영혼이 썰물과 함께 왔던 곳으로 돌아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듯 넓게 퍼집니다. 밀물과 썰물의 드나듦처럼 한 층씩 쌓이고 닦여나간 표면의 부드러운 납빛은 무채색 모래 향기가 배어있습니다. 무색이면서도 모든 색깔이 함축된 잿빛은 바다에 내재한 영적이고 의미심장한 본질을 보여줍니다.천진한 힘을 품은 물결이 우아하게 굽이치는 on the sea(53X45.5cm) 시리즈는 반짝이는 푸른 모래 물결의 유연한 움직임을 단단하고 투명하게 보여줍니다. 매끈하고 동그란 수정 같은 알갱이와 점보다 잘고 보드라운 흙가루를 아교와 배합하여 촉촉하게 얹어냅니다. 해변가의 모래가 바람과 햇빛에 자연 건조하듯 마포 위의 모래흙은 겹겹의 에너지를 품고 너른 물결이 되고, 해수면의 잔잔한 우아함과 벨벳 같은 반짝거림은 꿈결처럼 평온하게 표현됩니다.오다교 작가의 작업은 존재 차원에서의 완전한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귀향을 향한 바람을 나타냅니다. 완전한 세계에 대한 갈망을 일반인보다 짙게 느끼는 듯한 작가에게 바다는 영혼의 조용한 힘이자 강인한 존재 방식입니다. 작가의 논리와 운율로 펼쳐진 장지 위의 바다는 우리에게 그 너머 어딘가 근원을 바라보게끔 하는 성취를 이뤄냅니다. 인류의 기묘하고도 복잡한 사태는 바다의 은은하지만 포괄적인 규모 앞에선 장난이나 농담처럼 여겨집니다.주요 개인전으로는 <Oh Dakyo : Undine> (서정아트, 서울, 2023), <am is are> (파이프 갤러리, 서울, 2023), <You Will Forever and Ever> (우석갤러리, 서울, 2019)등이 있으며, <Breath of Spring> (파이프 갤러리, 서울, 2022), <발견의 아름다움>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2022), <RENOUVEAU> (Gallery Nesle, 파리, 2015) 등의 그룹전에 참여하였습니다. 작품은 서울미술재단, 표 갤러리 등의 주요 기관 및 갤러리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Artsit오다교   일자 2024. 01. 18 ~ 2024. 03. 05 장소 반얀 트리 클럽 & 스파 서울 (서울시 중구 장충단로60, 클럽동 로비)Banyan Tree Club & SPA Seoul (Jang Chung Dan-Ro 60, Jung-Gu, Seoul, Korea) 
01-17
Younghwan Chung : Echo in the Silence, 서정아트 강남
Echo in the Silence 서정아트는 2024년 1월 13일부터 2월 17일까지 정영환 개인전 《Echo in the Silence》를 개최한다. 본 전시는 작가의 상상으로 빚은 자연의 모습을 바탕으로 심미적 안정과 위안을 주고자 탄생한 푸른 숲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된다. 전시는 작가가 바라본 자연을 재현이 아닌 사유의 방식으로 접근할 것을 제안하며 색채의 미묘한 변화에 집중하기를 기대한다. 일관된 작품명에서 알 수 있듯 신작  ‘Mindscape’ 시리즈는 정면에서 바라본 여러 그루의 나무가 숲을 이루는 장면을 담고있다. 화면 중앙을 응시하면 시야에서 벗어난 부분은 아웃 포커싱 되어 흐려진다는 관념을 전복하듯, 정영환의 숲은 흐트러짐 없이 정갈하게, 규칙적으로 나열된 채로 꼿꼿하게 서있다. 때문에 우리가 아는 회화적 범위를 상상했다면 다소 인공적으로 보이기도 할 것이다. 인물이 등장하지 않고 오로지 풍경을 주제로 한 회화의 시초는 14세기 전반 이탈리아의 벽화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후 부수적인 요소들의 유무와 동식물의 비중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화되었지만, 자연을 '사실적'으로만 표현하는 단계에서 더 나아가 '이상적인 풍경화(ideal landscape)'로서 탄생하게 한 것은 재현의 의미를 다시금 돌아보게 했다.인적이 드문 어느 한 공간 안에서 발자취를 따라 신비스러운 장소를 탐색하듯 정영환은 자연스러운 형태, 익숙한 풍경 안에서 발견되는 세부적인 요소들을 비현실적으로 풀어내 이상적인 풍경화로 구현했다. 작가는 풍경을 주도하는 주체를 설정해 공간감과 구도법에 따른 주종관계를 허용하지 않으며, 이를 전면구도를 취한 방식에서부터 여실히 나타내고자 했다. 세밀하게 묘사된 작은 부분들은 대상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함이 아니라 끊임없이 감추고 덮어 관조하는 마음을 담아내는 과정이다. 작가는 자연의 일부를 ‘발췌’한다는 표현을 빌어, 이 같은 방식이 단순 재현이 아닌 상징적 수단임을 암시한다.붉은 숲과 푸른 숲으로 이루어진 상반된 두 색감은 단순히 온기의 대비가 아닌, 색채의 변주로 혼합된 이상화된 세계의 확장을 보여준다. 자연이 지닌 숭고한 힘, 자연과의 교감과 깊은 고독이 상징하는 무한의 영역을 보여주고자 캔버스 밖의 영역에도 한없이 펼쳐지는 그 무언가를 상상한 결과다.고요 속의 메아리를 뜻하는 이번 전시명 에서와 같이 ‘Echo in the Silence’는 고요한 숲 안에서 울리는 메아리처럼, 시각을 통해 시작된 사유가 청각으로 돌아온다는 공감각적 심상을 응축한다. 사시사철 곧은 기강을 표방한 푸른 숲속의 나무들이, 빼곡히 들어선 화면 안에서 빈 틈을 내어주는 것처럼 이번 전시도 보는 이에게 작가가 전하는 위로의 메시지가 닿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전시작가 정영환 ―SEOJUNG ART is delighted to announce Younghwan Chung's solo exhibition 《Echo in the Silence》 running from January 13 to February 17, 2024. This exhibition unveils a narrative centered around a lush forest, conceived from the artist's imagination. It aims to evoke a sense of aesthetic tranquility and comfort, drawing on the forms of nature.The exhibition invites viewers to engage with the artist's perception of nature not as mere representation, but as a form of contemplation, encouraging a focus on the subtle shifts in color. The consistently titled 'Mindscape' series captures scenes of various trees merging into a forest, all viewed head-on. Challenging the conventional notion that objects blur when out of focus, Chung's forests stand with impeccable clarity and orderliness. Their arrangement is so methodical that, within our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painting, they might even seem artificially structured.The emergence of paintings focused solely on landscapes, without the presence of human figures, began in the frescoes of 14th-century Italy. Over time, this genre diversified into various branch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ncillary elements and the emphasis on flora and fauna. However, it was the evolution from merely ‘realistic’ representations of nature to the conception of 'ideal landscapes' that prompted a reexamination of the meaning of representation.As if tracing footsteps to a mystical and sparsely populated space, Younghwan Chung unfolds natural forms and familiar landscapes into surreal details, crafting them into idealized landscapes. The artist deliberately avoids assigning a dominant subject to these landscapes, refusing to create a hierarchy based on spatial perception and composition, which is clearly demonstrated in his frontal compositions. The intricately depicted details are not just for effectively revealing the subject but rather serve as a process of continuously concealing and covering, embodying a contemplative spirit. Chung uses the term 'excerpting' to describe this approach, suggesting it is more a symbolic tool than a mere representation.The contrasting hues of red and green forests represent not just a contrast of warmth but an expansion of an idealized world through color variations. They aim to showcase the sublime power of nature, the communion with it, and the boundless realms symbolized by deep solitude, stretching beyond the confines of the canvas into the imagination.Reflecting the exhibition's title, ‘Echo in the Silence’ encapsulates a synesthetic imagery where visual contemplation returns as auditory reverberation. Just as the steadfast trees of the verdant forest symbolize integrity throughout the seasons, filling the densely packed canvas with their presence, this exhibition hopes to convey the artist's message of solace to its viewers.Artist Younghwan Chung 일자 2023. 11. 24 ~ 2023. 12. 29 장소 서정아트 강남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47길 12  
01-10
DEAR CABINET, 서정아트 강남
DEAR CABINET 서정아트는 2023년 11월 24일부터 12월 29일까지 김덕한, 나난, 박지은, 사이먼 고, 송민규, 신봉철, 안다빈, 이미주, 이병호, 이시산, 재진, 전아현, 최민혜, 피정원, 그리고 홍성준으로 구성된 총 15인의 작가들과 함께 《DEAR CABINET》 전시를 개최한다. 본 전시는 전시장 공간 자체를 하나의 큰 캐비닛으로 상정하고 그 안에 작가들이 가장 귀중히 여기는 것들을 담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16-17세기 새로운 문명을 맞이한 인류는 진귀한 물건들을 수집하고, 한 공간에 진열하는 행위를 통해 자신이 만난 세상을 만끽하고 그로부터 스스로 취향과 정체성을 확립하곤 했다. 독일에서는 경이로운 저장소를 의미하는 ‘분더캄머(Wunderkammer)’가,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호기심의 방(Cabinet of Curiosities)’, 즉 캐비닛이 바로 그 공간이었다. 이 캐비닛은 단순히 수집의 결과물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점차 예술과 우리의 관계에 대한 지적(知的) 작업이 끊임없이 교호하는 공간으로서 기능하며 오늘날 미술관과 박물관의 전신(前身)이 되었다. 이번 전시는 뮤지엄의 모체인 캐비닛이 예술을 향한 지적 호기심과 감상의 즐거움을 충족시켜주는 작은 세계(소우주)였다는 것에 착안하여 각자의 호기심의 방을 채우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전시의 동선은 크게 두 갈래로 구분된다. 첫째로 전시장 곳곳에서 볼 수 있는 작가 15인의 작품과 그 옆에 마치 은밀한 비밀을 감춘 것처럼 놓여있는 개별 캐비닛을 만날 수 있다. 작은 캐비닛 안에는 작업에 임하는 태도에 대한 사적인 이야기가 숨겨져 있다. 유한성, 물성, 존재성 등 제각기 소중히 여기는 개념에 대한 차근한 고민은 작품과 하나가 되어 호흡한다. 둘째는 전시장 초입에서 만나는 3면으로 둘러진 디귿 형태의 커다란 캐비닛 공간이다. 개별 캐비닛에 개개인의 사유의 한 순간이 박제되듯 담기었다면, 큰 캐비닛 공간에는 사유로 다다르는 무수한 시간과 지난한 과정이 담기어 있다. 과정은 그야말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재 속으로 흩어지고 부스러기만 남긴다. 이 부스러기가 버려질 때 비로소 작업이 존재하게 된다. 이 캐비닛 공간은 예술적 상상력이 확장되고, 창작이 이뤄지고, 다시 영점으로 돌아가는 고리를 붙잡아 부재와 존재 사이의 여백을 메운다. 때때로 소중한 것들은 명징하지 않고, 휘발성이 강할 때 우리를 무력화시킴으로써 언제나 새로운 방식으로 그것을 다시 기억하게 만든다. 이번 전시는 바로 이 과정 자체의 귀함에 주목한다. 하나의 작품이 누군가의 캐비닛에 진열되기까지 어떤 시간을 거치고, 어떤 내밀함을 품고 있는지를 새로이 들춰보는 자리이다. 15인의 작가들이 각자의 언어로 재구성한 가장 소중하고 솔직한 세계를 시선에 담아가길 바란다.  전시작가 김덕한, 나난, 박지은, 사이먼 고, 송민규, 신봉철, 안다빈, 이미주, 이병호, 이시산, 재진, 전아현, 최민혜, 피정원, 홍성준 ―Seojung Art presents DEAR CABINET from November 24 to December 29, 2023, with a total of 15 artists, including Deokhan Kim, Nanan Kang, Jieun Park, Simon Ko, Mingyu Song, Bongchull Shin, Dabin Ahn, Miju Lee, Byungho Lee, Sisan Lee, JEJn, Ahyun Jeon, Minhye Choi, Jungwon Phee, and Seongjoon Hong. The show reimagines the exhibition space as a large cabinet, where artists contribute their most valued possessions. During the 16th and 17th centuries, individuals at the dawn of a new era of civilization gathered unique objects for their collections, enjoying the world they discovered and cultivating their tastes and identities. In Germany, such collections were known as ‘Wunderkammer’, or 'Repositories of wonders,' while in England and France, they were called ‘Cabinets of Curiosities’. These spaces transcended their original purpose of mere display; they became dynamic arenas for intellectual engagement with art and humanity, setting the foundational ethos for the modern art galleries and museums we know today. This exhibition is rooted in the concept that a cabinet, as the forerunner to the museum, was a microcosm that satisfied intellectual curiosity and artistic enjoyment. It all begins with artists filling their own 'cabinets of curiosities.' The layout of the exhibition is divided into two principal routes. First, one will discover the works of 15 artists dispersed throughout the exhibition space, each accompanied by individual cabinets that seem to conceal secretive stories. These small cabinets hold personal narratives reflecting the artists' philosophies toward their work, with contemplations on ideas they hold dear, like ephemerality, materiality, and existence—these reflections breathe life into their creations and become one with them. The second route leads to a large space by the entrance, featuring a three-sided, C-shaped cabinet. Whereas the individual cabinets capture a still moment of personal reflection, this larger space encompasses the extensive hours and rigorous processes that foster such reflection. The process gradually disperses into oblivion, leaving only remnants behind. It is when these fragments are discarded that the artwork truly comes to be. This cabinet space encapsulates the cycle of artistic imagination, the act of creation, and the return to the beginning, filling the void between absence and presence. At times, the things we hold dear are ambiguous and transient, disarming us and compelling us to re-engage with them in perpetually evolving ways. This exhibition focuses on the preciousness of this very process. It is an occasion to reexamine the intimate journey a piece of artwork undergoes before it is displayed in someone's cabinet, and the secrets it holds. We hope that the beholders capture the most precious and honest worlds, as reconstructed in the unique languages of the 15 artists. Artists Deokhan Kim, Nanan Kang, Jieun Park, Simon Ko, Mingyu Song, Bongchull Shin, Dabin Ahn, Miju Lee, Byungho Lee, Sisan Lee, JEJn, Ahyun Jeon, Minhye Choi, Jungwon Phee, Seongjoon Hong   일자 2023. 11. 24 ~ 2023. 12. 29 장소 서정아트 강남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47길 12  
11-13
Daun Jeong : Fabric Paradise, 반얀트리 서울
  반얀트리 서울 클럽동에서 2023년 다섯 번째 아티스트 탐색 프로젝트로 정다운(b. 1987) 작가의 작업을 선보입니다. 정다운 작가는 물감이 아닌 천을 도구로 작업하는 '패브릭' 시리즈를 선보이며 재료의 특성과 물질의 성질을 연구하는 화가입니다. 작가는 팔레트에 물감을 섞듯 천의 색감을 배열하고 소재를 선별함으로써 특정 상황과 감정에 따라 연출 방식을 달리합니다.2023년 11월 18일부터 2024년 1월 17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에서는 정다운 작가의 대표 시리즈인 패브릭 작업을 선보이며 굵고 얇은 천들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 시각적 미감을 자아내는지 경험하게 합니다. 작가의 손을 거친 천 조각들이 캔버스를 감싸며 펼쳐지고 늘어지는 과정에서 천이 지닌 재질의 특성은 기능성에서 벗어나 역동성과 새로운 감각을 추구하게 됩니다.정다운 작가는 특정 장소와 시간, 그리고 그때의 감정을 고스란히 담아 기록합니다. 천의 움직임과 함께 생성되는 리듬감은 작가가 천을 감는 행위로 인해 새로운 자극을 주며, 보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시각적 심상은 공간을 점유하는 작업에서 새로운 무언가를 발견하게 합니다. 특히 계절감을 나타내는 색상의 배합에 따라 관람자에게 온기와 한기를 간접적으로 전달한다는 점에서 패브릭 시리즈는 공감각적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정형화된 구조의 캔버스, 견고한 틀 안에서 고정값을 벗어나 유동하는 다양한 천들은 중첩되어 일종의 패턴을 생성합니다. 크고 작은 틀을 천으로 감싸는 반복된 행위안에서 예측할 수 없는 비정형화된 패턴이 만들어짐에 따라 작업은 긴장감을 유지하며, 다각적 측면에서 해석이 가능하도록 2차원의 평면을 입체적으로 전환하여 3차원의 세계로 진입합니다.견고한 가죽부터 부드러운 천의 재질까지 여러 질감의 특수성을 동원하여 '촉각'에서 출발하는 본 작업은, 다채로운 색상과 어우러져 시각적으로 매료되는 대상으로서 존재합니다. 평소 클래식 음악을 즐기는 작가는 음악적 사고의 움직임을 포착하듯이 선율의 상승과 하강을 긴장과 이완으로 표현합니다. 이는 청각과 시각의 연결고리가 되어 우리의 눈을 통해 볼 수 없는 경험을상상하게 합니다.작가의 주요 개인전으로는 'Better, Together' (Artbit Gallery, 서울, 2022), 'Flow Natural' (IFC Seoul, 서울 2021), 'Fabric Drawing Layered Harmony' (63 ART Museum, 서울, 2019)가 있으며 단체전으로 ‘Play x Fun=Happy’ (전북도립미술관, 2023), ‘Re connection:be original’ (정샘물롭스, 서울, 2022), ‘Passage:Artificial Paradise’ (서정아트, 서울, 2022), ‘Voyages to KOREA Contemporary KOREA ART’ (타이난 미술관, 타이페이, 2021)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야외 프로젝트를 통해 공공미술로서의 가치를 실현하며, 자연의 빛에 따라 변하는 색감에 주목함으로써 예술의 일상화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새로운 재료를 물색하고 그 성질을 연구하는 작가의 실험적 행보는 사물과 작품 사이 양방향의 소통을 추구하며 지향합니다. Artsits Daun Jeong    일자 2023. 11. 18 ~ 2024. 01. 17 장소 반얀 트리 클럽 & 스파 서울 (서울시 중구 장충단로60, 클럽동 로비)Banyan Tree Club & SPA Seoul (Jang Chung Dan-Ro 60, Jung-Gu, Seoul, Korea) 
11-07
Oh Dakyo : Undine, 서정아트 부산
Oh Dakyo : Undine 허먼 멜빌(Herman Melville, 1819-1891)의 《모비딕》에는 작품 도입부에 다음과 같이 서술되어 있다. “거의 모든 회화 작품에는 어딘가 물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서양 연금술에 등장하는 물의 정령 운디네(Undine)는 물이라는 자연 요소가 가진 어둠만이 아니라 빛도 의식한다. 프랑스 현대 사상가 바슐라르에게는 싹을 틔우고 샘을 솟아나게 하는 거역할 수 없는 탄생으로 상징되었다. 그에 의해 물이라는 질료는 과학철학과 문학 두 개의 축에서 물질적 영원과 원천으로 정의되고 시의 언어로서 아름답게 비약했다. 이처럼 물은 자연적 상징과 순수한 질료로 인류에게 신의 섭리이자 문학적 메타포로서 기능해 왔다. 어떤 물질보다 폭넓은 상징체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신화와 예술의 영역에서도 인류의 사고와 함께 유전되고 창조의 대상으로 활용되었다. 이처럼 우리는 물의 서사 안에 머무르고 그곳에서 꿈을 꾼다. 서정아트에서 기획한 의 오다교 역시 물의 장소에 머물렀고, 작가의 회화 자체가 바다가 되었다. 바다에서 나고 자란 작가에게 물은 만물의 근원을 이루는 흥미롭고 신령스러운 기운이다. 그의 경험과 상상력을 빌어 탄생한 물의 감각, 물을 다루는 원칙은 어떤 회화적 메시지로 기록되었는지 전시를 통해 마주해보고자 한다. 오다교의 바다는 명상과 결합되어 있다. 고요하고 온화한 날 저녁 바다의 표면을 연상하게 하는 still (112X194cm)은 작가의 영혼이 썰물과 함께 왔던 곳으로 돌아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듯 넓게 퍼진다. 밀물과 썰물의 드나듦처럼 한 층 씩 쌓이고 닦여나간 표면의 부드러운 납빛은 무채색 모래 향기가 배어있다. 무색이면서도 모든 색깔이 함축된 잿빛은 바다에 내재한 영적이고 의미심장한 본질을 보여준다. 그곳에서 우리는 야단법석 세상의 한쪽 뒷편에서 자연과 인간의 잠재력과 고결한 처지를 점진적으로 알아차릴 수 있다.반면 on the sea (53X45.5cm)는 천진한 힘을 품은 물결이 우아하게 굽이친다. 반짝이는 푸른 모래 물결의 유연한 움직임은 단단하고 투명하다. 매끈하고 동그란 수정 같은 알갱이와 점보다 잘고 보드라운 흙가루를 아교와 배합하여 촉촉하게 얹어낸다. 해변가의 모래가 바람과 햇빛에 자연 건조하듯 마포 위의 모래흙은 겹겹의 에너지를 품고 너른 물결이 된다. 그리하여 해수면의 잔잔한 우아함과 벨벳 같은 반짝거림은 꿈결처럼 평온하게 표현된다.오다교의 작업 시리즈는 존재 차원에서의 완전한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귀향을 향한 바람을 표현한다. 완전한 세계에 대한 갈망을 일반인보다 짙게 느끼는 듯한 작가에게 바다는 영혼의 조용한 힘이자 강인한 존재 방식이다. 작가의 마음을 이끈 영원한 생명 원칙으로서의 바다는 추상적인 것이 아니다. 그의 논리와 운율로 펼쳐진 장지 위의 바다는 우리에게 그 너머 어딘가 근원을 바라보게끔 하는 성취를 이뤄 낸다. 인류의 기묘하고도 복잡한 사태는 바다의 은은하지만 포괄적인 규모 앞에선 장난이나 농담처럼 여겨진다.전시작가오다교  ―Oh Dakyo : Undine Herman Melville's (1819-1891) "Moby-Dick" opens with the reflection that in almost every painting, water can be found somewhere. Undine, the elemental beings associated with water in European alchemical texts, discern both the darkness and light inherent in this natural element. The modern French philosopher Gaston Bachelard perceives water as representing an unstoppable emergence, giving rise to growth and invigorating springs. Through his lens, water as a substance is defined from both scientific and literary axes as an eternal essence and source, eloquently allegorized in the language of poetry. Consequently, water has resonated with humanity as both a symbolic representation and an unadulterated essence, encompassing divine order and serving as a poignant literary metaphor. Owing to its rich tapestry of symbolism, surpassing any other substance, water threads its way through human thought in mythology and art, serving as a vehicle for creativity. In this context, we immerse ourselves in the stories of water, letting our dreams take flight.In "Oh Dakyo: Undine," presented by Seojung Art, Oh Dakyo finds her inspiration in the realm of water, with her paintings becoming the sea itself. Born and raised by the sea, Oh views water as a captivating and spiritual force, the source of all life. This exhibition seeks to explore the sensibilities of water drawn from her personal experiences and imagination, shedding light on the principles guiding her artistic interpretation of this element and revealing how these sentiments translate into painterly messages.Oh's sea is intertwined with meditation. Still (112X194cm, set of 3) evokes the calm and gentle expanse of the sea on a tranquil evening, giving viewers the sensation that the artist's soul has journeyed back to where it first met the ebb tide, reaching expansively beyond the confines of time and space. Crafted in layers and polished, reminiscent of the ebb and flow of tides, the artwork's soft leaden hue conveys the scent of colorless sand. The ash hue, although devoid of color, encapsulates every shade, revealing the sea's profound and spiritually intrinsic essence. Within this, the audience can gradually discern the latent potential and noble essence of nature and humanity, set apart from the clamorous world.Meanwhile, one the sea (one of 53X45.5cm) captures waves that elegantly undulate, embodying a youthful vigor. The shimmering blue waves, reminiscent of sandy textures, glide with firm yet translucent flexibility. Smooth, round, crystal-like grains are meticulously blended with a damp mixture of fine, soft earth powder and donkey-hide gelatin. Just as beach sand naturally dries under the sun and wind, the sandy texture on the canvas harbors layers of energy, morphing into expansive waves. The canvas conveys the sea's serene elegance and its velvety shimmer with a dreamlike tranquility.Oh Dakyo's series of works expresses a longing for a complete homeland in the realm of existence and a desire to return home. For the artist, who seems to feel a deeper yearning for a perfect world than most, the sea represents both a quiet force of the soul and a resilient way of being. The sea, which has guided Oh's heart as an eternal principle of life, is not merely abstract. The sea spread across the canvas in her logic and rhythm achieves the feat of directing our gaze toward an origin beyond. The peculiar and complex affairs of humanity seem almost playful or trivial in front of the sea's subtle yet encompassing magnitude.ArtistOh Dakyo    일자 2023. 11. 17 ~ 2023. 12. 22 장소 서정아트 부산 부산 해운대구 달맞이길 30 엘시티 제포디움동 3F  
10-31
Reinterpretation, 반얀트리 서울
반얀트리 서울 클럽동에서는 아티스트 탐색 프로젝트로 해외 작가 안나 멤브리노(Anna Membrino, 1986), 브라이언 라이드아웃(Brian Rideout, 1986), 데미안 엘웨스(Damian Elwes, 1960) 3인의 작업을 선보입니다. 2023년 9월 12일부터 11월 12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재구성(Reinterpretation)이라는 큰 틀 안에서 파생된 시각적 현상을 선보이며 공간을 점유하는 요소들의 변주를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안나 멤브리노의 작업을 관통하는 주제는 기억과 시간입니다. 묽게 희석한 페인트를 캔버스 위에 부어 3차원의 도상으로 완성하고, 이 과정에서 페인트를 굳혀 마치 물이 흘러내리는 듯한 패턴을 형성합니다. 자유롭게 흐르는 비정형의 이미지와 물성을 영구화하는 행위를 통해 작가는 순간의 기억을 포착해 기록으로 남깁니다. 흐르는 시간을 편집하고 재구성하는 방식은 작가의 기억 속 파편화된 조각들을 새롭게 구조화하며 다채로운 이야기를 구성하게 합니다. 브라이언 라이드아웃은 인물과 사건에 대한 기록물 로서의 이미지를 다루며 편집물의 시초와 목적에 대한 의문으로 작업을 시작합니다. 작가는 눈앞에 있는 공간과 사물을 있는 그대로 그리면서 이를 하나의 이미지로 재구성하는데, 라이드아웃에게 그림이란 특별하고 구체적인 의미가 담긴 기록이 아닌 주제를 선별해 사실적으로 묘사한 일상적 형태의 이미지에 가깝습니다. 그는 자신의 작업을 통해 엘리트주의에 잠식된 미술이라는 영역에 스스로 정의내린 새로운 의미를 부여합니다. 데미안 엘웨스는 파리에서의 유학 시절 여러 작가들의 작업실을 방문하며, 작가의 스튜디오를 그리겠다는 아이디어를 구상하기 시작했습니다. 유학 시절 부족 했던 프랑스어 실력 때문에 작가들과 교류하기보다 스튜디오에 흩어진 작업의 흔적을 포착하는 것에 집중한 엘웨스는 작가의 인생과 작업에 대해 알 수 있는 모든 책과 정보를 수집하고 연구했습니다. 연구가 충분히 진행된 후에는 자신이 선택한 작가의 작업 시기 중 가장 혁신적이고 다양한 시도를 했던 기간을 짚어 특정 색채와 생동감 있는 구성으로 캔버스에 담아냅니다. 이번 《Reinterpretation》 전시를 통해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재구성한 3인의 작업을 살펴보고, 그 작업물이 가져다주는 영감과 새로운 자극이 관람객들에게 느껴지기를 기대합니다. Artsits Anna Membrino, Brian Rideout, Damian Elwes   일자 2023. 09. 12 ~ 2023. 11. 12 장소 반얀 트리 클럽 & 스파 서울 (서울시 중구 장충단로60, 클럽동 로비)Banyan Tree Club & SPA Seoul (Jang Chung Dan-Ro 60, Jung-Gu, Seoul, Korea) 
09-11
Figure Ground, 서정아트 부산
피규어 그라운드  우리는 사물을 지각할 때 시각적 요소들이 이루고 있는 세력 관계를 우세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분화시켜서 파악하려는 본능을 가지고 있다. 감각을 통해 인식한 주위의 모든 정보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이미지만을 선별한 뒤 저장하는 이 같은 현상을 게슈탈트 심리학(Gestalt psychology)에서는 피규어-전경, 그라운드-배경이라는 지각의 원리로 설명한다. 서정아트 부산에서는 노보, 모모킴, 송지혜가 정의한 피규어와 그라운드의 유형을 통해 자유자재한 시선의 묘의를 경험해 보고자 본 전시를 기획했다. 노보(b.1982)는 본인의 추억이 영글어있는 알록달록한 물건으로 평면 실험을 거듭한다. 그는 도쿄 시내와 LA 뒷골목 곳곳을 넘나들며 자동판매기 속 미니어처부터 이국의 우체국 소포 박스까지 작가의 레이더에 가장 흥미롭게 감지되는 문화의 파편들을 찾아 수집한다. 그렇게 손에 닿은 오브제는 검정 바탕에 시각의 서열화를 피해 정면성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쌓이고 펼쳐진다. 선명한 톤의 노란 메달과 케첩, 럭비볼의 다채로운 빨간 오브제로 제작된 불쑥 솟은 기둥은 작가 자신과 우리에게 수여하는 트로피를 형상화한다. 추억과 욕망으로 지탱된 트로피는 기억의 지속성을 보장해 주는 생생한 조각으로서 기능한다. 가장 친숙한 일상의 오브제는 모모 킴(b.1992)의 아이패드에서 부드러운 파스텔 색과 매끈한 드로잉 선의 리듬을 타며 자리한다. 누군가의 공간 속에서 뿌연 배경으로 존재하던 이미지들은 핑크빛 뽀얀 히어로가 되어 산뜻한 정체성을 회복한다. 꽃병, 손거울, 스탠드 등 인형은 각각의 형상과 운율을 찾아 유기적인 구성을 이루는데, 이러한 결과물은 객관적이라기보다 자신의 관찰 결과인 ‘자기 시각’을 그려낸 감각적 고백이다. 단순한 일상의 겉모습만이 아닌 개인의 서사까지도 담으려 한 송지혜(b.1990)의 작업에는 일상과 예술을 대하는 진지한 자의식이 담겨있다. 둥글한 부피감으로 묘사된 얼굴은 재현을 위한 형태보다 신비주의적 고뇌와 같은 내면세계를 우선시 한 모습이다. 길고 느슨한 호흡으로 연결되는 드로잉은 전형적인 형태에 대한 순수한 사유를 일깨우고 자극한다. 린넨에 획의 움직임이 드러나도록 거칠게 칠해진 푸른 화장실 바닥과 뿔이 난 소녀의 두툼한 볼을 가르며 흘러내리는 물감 한 줄기가 주는 시각적 즐거움을 통해 삶의 비밀스러운 구석을 끌어낸다. 별개의 대상들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피규어 또는 그라운드로 자유자재하게 활용되고 창조적으로 재배치된다. 이러한 요인은 즉각적으로 에피소드를 경험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간의 궤적이 개입된 시선에서 유래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평면은 집합적 기억의 저장소로서 기능한다. 이렇게 우리는 진화하는 오브제를 마주하며 생생하게 만져질 듯한 현존을 경험하고, 진지하게 취급되지 않았던 일상의 파편에 효과적으로 집중해 볼 수 있다.  전시작가노보, 모모킴, 송지혜  ―Figure GroundWe instinctively organize our perception of things by categorizing the dynamics of visual elements into those that are dominant and those that are subordinate. This process of selecting and retaining only the images we deem essential from the vast information we perceive through our senses is elaborated in Gestalt psychology through the perceptual principle of figure and ground. In this light, Seojung Art Busan curated "Figure Ground" to allow an exploration of the liberated gaze through the figure and ground interpretations through the lens of Novo, Momo Kim, and Jeehye Song. Novo (b.1982) persistently experiments with planes of objects, drenched in vibrant colors and saturated with his own memories. He traverses the streets of downtown Tokyo and the back alleys of Los Angeles, gathering fragments of culture that resonate with him, from vending machine miniatures to post office boxes from foreign lands. These objects are presented against a black backdrop in a manner that negates visual hierarchy and emphasizes frontality. Towering columns of gleaming yellow medals and vivid red objects, such as ketchup bottles and rugby balls, become self-bestowed trophies, an honor he shares with himself as well as the audience. Anchored by memories and aspirations, these trophies morph into lively sculptures that immortalize moments in time. Within Momo Kim's (b.1992) iPad, familiar everyday objects are rhythmically illustrated with soft pastel hues and sleek lines. Elements that once were mere background fixtures in someone's space now reinvent themselves as pink, pristine protagonists within the pictural space. Items like vases, hand mirrors, stands, and dolls craft their unique silhouettes and rhythms to form harmonious compositions, culminating not in an objective representation, but in a sensory confession of Kim's personal observations. Jeehye Song's (b. 1990) practice, which endeavors to represent both the outer veneer and personal stories of daily life, exudes a deep self-awareness in her approach to life and art. The faces she depicts, with their rounded and voluminous features, prioritize an inner realm of mystical distress over mere form replication. Her long, relaxed strokes of drawing invoke and stimulate an unfiltered contemplation of foundational forms. The roughly painted brushwork on linen depicting blue toilet floor, and with the captivating sight of a paint streak trailing down a horned girl's plump cheek, are few of the things in Song’s work that highlight the hidden nuances of life. Objects, discrete in nature, are freely utilized and rearranged as either figures or grounds due to various factors. These factors stem not only from the immediate experience of an event but also from a perspective shaped by the passage of time. Given this, the plane serves as a storage for collective memory. We can then engage with evolving objects, sense their tangible essence, and focus keenly on aspects of daily life that might have been previously overlooked. Artists Novo, Momo Kim, Jeehye Song    일자 2023. 09. 16 ~ 2023. 10. 25 장소 서정아트 부산 부산 해운대구 달맞이길 30 엘시티 제포디움동 3F  
09-05
Rusudan Khizanishvili : Velvet Armor, 서정아트 강남
Velvet Armor 서정아트는 2023년 9월 6일부터 10월 30일까지 조지아 트빌리시 출생 여성 작가 루수단 히자니쉬빌리(Rusudan Khizanishvili, 1979-)의 개인전 《Velvet Armor》를 개최한다. 건축, 신화, 자아 그리고 여성에 이르는 다양한 관심사를 소재로 작업하는 루수단은 예술이 우리의 내면을 넘어 세계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연구한다. 루수단의 작업에 등장하는 도상은 인간과 괴물, 여성, 혹은 성별을 구분할 수 없는 생명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여러 신화적 요소를 도입해 하나의 서사를 이어가는 방식은 마치 신화 속 한 장면을 구현한 것과 같은 느낌을 준다. 인간을 중심으로 자연과 동물이 끊임없이 등장함으로써 작가는 세계 속에서 인간이 어떤 위치에 서서 상호작용하는지에 주목하며 이야기를 펼친다. 탈식민주의에 대한 작업을 이어왔던 작가의 관심사는 그 중에서도 특히 여성의 역할, 부드러움 안에 내재된 강력한 힘에 머문다. 루수단이 한국에서 여는 첫 개인전 《Velvet Armor》에서도 전시명에서 유추할 수 있듯 ‘부드럽지만 강한 여성의 힘’을 은유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작가는 근대 이전의 예술이 되풀이했듯 여성을 아름답고 낭만적인 대상으로 묘사하기보다 강력하고 때로는 기이하게 보일 정도로 다채롭게 그들의 에너지를 표현한다. 이는 작가가 거의 모든 작품에서 강조해온 여성의 힘에 관한 주제의 연장선이며, 그녀에게 있어 Armor, 즉 갑옷은 적으로부터 나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포용하는 수단임을 보여준다. 또한 전시장 한 켠에 루수단의 작품과 병치된 박생광(朴生光, 1904-1985)의 작품은 조지아와 한국의 연결고리를 찾게 하는 장치다. 강렬한 오방색으로 한국의 토속성과 무속성을 표현한 박생광의 작품에서 루수단은 본인 작업과의 공통점을 발견했다. 가장 한국적이고 토속적인 소재를 담은 한국 작가와 조지아의 전통적 맥락을 기반으로 하는 루수단의 작업 사이를 잇는 지점은 관람자에게 서로 다른 문화권이 어떻게 융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루수단은 니콜라제 아트 스쿨(J.Nikoladze Art School)과 트빌리시 국립 예술 아카데미(Tbilisi State Academy of Art)에서 회화를 전공하였으며, 동대학원에서 영화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조지아 작가의 첫 개인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른 이번 전시는 한국에서는 다소 낯설 수 있는 문화권인 조지아의 강렬하면서도 이국적인 느낌을 담아내고자 한다. 한국 특유의 분위기와 새로운 문화권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너지가 형성되기를 기대한다.전시작가 루수단 히자니쉬빌리 ―Seojung Art is pleased to present Velvet Armor, a solo exhibition by the Tbilisi, Georgia-born female artist Rusudan Khizanishvili (1979-), running from September 6 to October 30, 2023. Khizanishvili, whose practice is influenced by an array of themes, including architecture, mythology, selfhood, and womanhood, explores the ways in which art connects us to the world beyond our introspective selves.The iconography of Khizanishvili's practice encompasses humans, monsters, women, and androgynous beings. Her integration of these mythological elements weaves a cohesive narrative, reminiscent of a mythological scene. Through the recurrent portrayal of nature and animals, with humans at the core, she places a spotlight on human interaction and existence within the world. Her ongoing interest in post-colonialism manifests in her focus on the role of women and the power inherent within gentleness.As hinted by the exhibition's title, Velvet Armor — Khizanishvili's Korean debut — stands for the soft yet potent power of women. She veers away from portraying women as solely beautiful and romanticized subjects, a trope often found in pre-modern art. Instead, she vividly expresses their vibrant energy, painting them as strong, occasionally eccentric figures. This emphasis on female strength is a recurring theme in Khizanishvili's work, demonstrating her belief that "armor" is not designed to segregate us from our adversaries but rather to embrace them. Accompanying Khizanishvili's pieces, a work by Saeng Kwang Park (1904-1985) is featured in the exhibition, drawing a parallel between Georgia and Korea. Through Park's vibrant pentachromatic portrayal of Korean folklore and shamanism, Khizanishvili discerns resonances with her practice. The cross-cultural dialogue between the distinctively Korean elements in Park's work and the traditional Georgian context of Khizanishvili's pieces invites contemplation of the convergences among diverse cultures.Khizanishvili studied painting at the J. Nikoladze Art School and Tbilisi State Academy of Art, the latter of which she earned a master's degree in filmmaking. This landmark exhibition, as the inaugural solo show by a Georgian artist, endeavors to encapsulate the intense and unique sensations emblematic of Georgian culture, a culture that might be somewhat exotic to Koreans. It is our aspiration that the distinct ambiance of Korea and its respect for novel cultures will generate compelling synergies. Artist Rusudan Khizanishvili   일자 2023. 09. 06 ~ 2023. 10. 30 장소 서정아트 강남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47길 12  
08-09
1 2 3 4 5 6 7 8 9
0

최근본작품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