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아트프린팅

News

Kerri Lee : Wave on Wave, 서정아트 부산
Wave on Wave  서정아트 부산에서 캐리리(b. 1987)의 개인전 《Wave on Wave》를 2023년 7 월 20 일부터 8 월 31 일까지 개최한다. 푸른색과 촉각성을 모티프로 한 이번 전시는 작가가 가장 정직한 감각이라고 생각하는 ‘촉각’이 푸른색과 어우러져 형성하는 내러티브에 초점을 둔다. 캐리리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현대인의 막연한 불안감, 불안정 그리고 조급함과 같은 비가시적인 긴장 상태를 주제로, 내면에 있는 불안 요소로부터 파생되는 인간의 불완전한 모습에 대한 논의를 탐구한다. 여러 개의 캔버스를 바닥에 늘어놓은 후, 푸른 물감을 자유롭게 칠하는 작가의 작업은 불규칙적으로 보이지만 철저하게 의도적인 붓질로 색과 형태를 쌓아간다. 그러나 빈 공간에 등장하는 검정색 획은 물감 위를 자유로이 표류하며 캔버스에 유희를 더한다는 점에서 예상을 빗나가게 한다. 이처럼 계획과 우연을 넘나들며 축적된 획과 색의 덩어리는 완전함에 대한 작가의 욕망과 고뇌 속에서 살아가는 불완전한 현대인의 초상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작가는 자신이 만들어가는 푸른색의 덩어리가 ‘촉각성’으로부터 시작된다고 말한다. 이를테면 달리는 차 안에서 창문을 통해 몸을 스치는 바람의 세기, 온도, 습도와 같이 작가가 마주한 주변의 모든 것이 호기심과 관찰의 대상이 된다. 그리고 작가에게 느껴지는 촉각의 세기는 신체를 자극하고 그 자극들이 감각기관의 세포를 일깨우는 것이다.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 Ponty, 1908-1961)가 자신의 저서 『지각의 현상학』에서 ‘몸은 세계를 감각함으로써 스스로가 느끼지 못한 새로운 세계의 존재를 열어낸다’고 말한 것과 같이 작가가 신체로 느낀 감각은 가장 본능적인 회화라는 새로운 세계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게 해주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캐리리는 자신의 작업을 찰나의 감각이라 표현한다. 신작을 포함한 약 20 점 내외의 작품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에서는 잔잔한 물의 파동, 거친 파도와 같은 물결의 다양한 움직임과 잔상으로 인해 관람객들이 이성으로만 인지하던 두터운 물리적 세계의 경계선을 허물고, 우리의 몸과 일체되는 무한의 감각을 새롭게 느끼기를 기대한다. 전시작가캐리리 ―Seojung Art Busan is delighted to present Wave on Wave, a solo exhibition by Kerri Lee (b. 1987), on display from July 20 to August 31, 2023. Centered around the themes of blue and tactility, this exhibition explores the narratives woven by the color blue and the sense of touch, the latter of which the artist considers to be the most sincere of our senses. Kerri Lee explores the concept of an invisible state of tension, encompassing contemporary life's anxiety-in-nubibus, uncertainty, insecurity, and impatience towards an ambiguous future. Through this exploration, the artist delves into the discourse of human imperfection that stems from our inherent anxiety. By laying several canvases on the floor and applying blue paint in a liberated manner, the artist builds layers of color and form through seemingly irregular but purposeful brushwork. Surprisingly, black strokes emerge within the white spaces, playfully drifting over the paint, infusing a sense of whimsy onto the canvas. The accumulation of deliberate and accidental brushwork, strokes, and colors offers a paradoxical portrayal of the artist's pursuit of perfection juxtaposed with the imperfect nature of modern life, which is often fraught with anguish. Lee explains that the blue she creates originates from 'tactility.' Every element surrounding her, such as the strength,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wind flowing through the windows of a moving car, becomes a subject of curiosity and observation. The intensity of these tactile sensations stimulates her body, awakening the sensory apparatus within her cells. As Maurice Merleau-Ponty (1908-1961) stated in his book "Phenomenology of Perception," the body, through its senses, unveils the existence of a new world it has not yet experienced. The sensations experienced by Lee's body serve as the foundation for her expression of a new world through the most instinctive language of painting. Kerri Lee describes her artwork as a sense of fleeting moments. With approximately 20 pieces featured in this exhibition, including new works, Lee anticipates that audiences will perceive an infinite sense of unity within their own bodies. Through the undulating motions and lingering afterimages of waves—whether they be tranquil water ripples or tempestuous tides—she aims to dissolve the boundaries of the tangible material world, which is often perceived solely through reason.Artist Kerri Lee  일자 2023. 07. 20 ~ 2023. 08. 31 장소 서정아트 부산 부산 해운대구 달맞이길 30 엘시티 제포디움동 3F  
07-06
Hwang Doyou : Alice in Wonderland, 반얀트리 서울
반얀트리 서울 클럽동에서는 2023년 세 번째 아티스트 탐색 프로젝트로 황도유(b. 1987) 작가의 작업을 선보입니다. 황도유 작가는 꿈속 같은 분위기를 캔버스 위에 그려내는 작가로, 계원예술대학교를 졸업한 뒤 갤러리, 브랜드 등 다양한 곳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23년 7월 4일부터 9월 10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에서는 황도유 작가 특유의 몽환적인 분위기의 앨리스들을 보다 더 높은 채도와 다채로운 색감으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 기존의 앨리스들이 그 모습을 보여줄 듯 말 듯 신비로운 매력을 자랑했다면, 이번에는 그런 기묘한 분위기에 특유의 색감으로 생기와 활력을 더했습니다. 이 소녀들은 작가 특유의 기법이기도 한 붓질의 흔적을 남겨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데, 이로써 작가의 화면은 단순히 아름다워 보일 뿐만 아니라 태초의 야성을 느끼게합니다. 이는 작가에게 있어 순수함이란 맑고 고요한 것이상의 의미를 갖추어 회화의 근원적 에너지를 탐구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그의 그림을 설명하는 수식어는 다양하지만, 그 중 모든 감상자들이 공통적으로 선택하는 단어는 바로 ‘순수함’일 것입니다. 황도유가 작업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순수한 회화성을 탐구하기 위함이고, 이전부터 꾸준히 작품의 기반으로 삼아 온 방법론은 ‘일획론(一畫論)’입니다. 중국 청초의 승려화가인 석도(石濤)의 회화 이론으로, 모든 것은 한 획에서 출발하여 그 획 안에 우주와 그 너머의 모든 것이 담겨있음을 의미합니다. 작가는 일획론을 자신의 언어로 재해석하여, 다른 도구로 대체할 수 없는 손 그리고 감각에 의탁한 표현을 추구하며 모든 표현을 일획으로 시작하여 일획으로 마무리 짓고자 합니다. 황도유의 작품에 주로 등장하는 소녀, 즉 앨리스는 작가가 오래전 받은 기묘한 감회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작가는 어느 겨울 아침 친척 여동생들과 산책을 하다가 시골의 물가에서 피어오르는 물안개와 소녀들이 어우러진 몽환적인 풍경에서 신비로운 인상을 받았고, 그 광경은 작가의 작품 세계의 근간이 되었습니다. 풍경 속의 신비로운 소녀들은 앨리스라 이름 붙여졌으며 현재까지도 작가에게 가장 중요한 뮤즈(Muse)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한편 첫 붓질의 흔적을 마지막까지 남겨두려는 작가의 기법 또한 특유의 순수성을 더욱 강조하려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황도유는 자신의 손을 가장 중요한 도구로 여기며 첫 붓질의 흔적을 그대로 보존함으로써 붓질당시 손의 미세한 떨림과 획의 방향, 작업의 과정을 숨김없이 보여줍니다. 이는 작가가 생각하는 가장 순수한 회화를 추구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작가의 최근 주요 개인전으로는 《Innocent Blossom》(서정아트 강남, 서울, 2023), 《희랍화첩-서른 세 송이》(아줄레주 갤러리, 서울, 2022),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김리아갤러리, 서울, 2021) 등이 있으며, 《The Secret Cabinet》 (The Stroll Gallery, 홍콩, 2023), 《The Beginning》(프린트베이커리 더현대서울점, 서울, 2022) 등의 단체전에 참여하였습니다. 주요 소장처로는 국립현대미술관 정부은행, 조선팰리스 서울강남 등이 있습니다.   일자 2023. 07. 04 ~ 2023. 09. 10 장소 반얀 트리 클럽 & 스파 서울 (서울시 중구 장충단로60, 클럽동 로비)Banyan Tree Club & SPA Seoul (Jang Chung Dan-Ro 60, Jung-Gu, Seoul, Korea) 
07-05
Guy Yanai : Blue Hour, 서정아트 강남
Blue Hour "예술 작품의 위대함은 겉으로 드러나는 질적 측면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 오히려 이 작품을 이후에 어떻게 다루느냐와 더 큰 상관이 있다는 것이 프루스트의 논지다. 따라서 모든 것은 잠재적으로 예술을 위한 비옥한 토양이다. 그의 주장은 비누 광고에서도 블레즈 파스칼의 『팡세』만큼의 예술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과도 궤를 같이한다."- 마르셀 프루스트에 관하여, 알랭 드 보통마르셀 프루스트에 대한 알랭 드 보통의 말은 가이 야나이의 작업에 대한 근본적인 측면을 함축적으로 담고 있다. 야나이의 작품 속 보통의 사물과 일상적인 순간은 작가만의 스타일과 색감을 통해 세심하게 포착된다. 작가의 붓놀림은 작품에 독특한 양감을 부여하면서 동시에 일상적인 정경을 평면화하고 추상화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그의 작품은 고상하거나 저급하거나, 특정적이거나 보편적이거나 등의 다채로운 의미 영역에서 기인한 주제에 대한 스스로의 태도를 담고 있다.이는 작가가 영화적인 이미지, 즉 인물, 정물, 풍경이 어우러지는 방식, 혹은 신체, 사물, 색감의 병치, 그리고 일상을 구성하는 질감 등 다양한 주제와 장면에 영감을 받아 작업하고 있다는 것과 같은 선상에 있다. 그의 작품은 형태와 색감, 회화적 과정, 사물이 예술 작품이 되는 순간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대상과 그 대상에 대한 해석적 묘사 사이의 미세한 경계에 놓여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시 제목인 《블루 아워》는 회화적 관점에서 바라본 일상의 전형, 푸르스름한 빛이 확산되어 주변을 고요한 분위기와 감정의 색조로 물들이는 황혼의 일상을 의미한다. 특히 야나이가 이번 전시에서 처음 선보이는 작품은 밝은 햇빛과 한 폭의 그림 같은 배경에 물들어 있는 일상적인 행동을 긴 호흡으로 묘사한 에릭 로머(Éric Rohmer)의 영화 속 장면에서 영감을 받았다.이번 신작에서 야나이는 텍스트라는 새로운 소재를 도입한다. 영화에서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에 흥미를 느낀 작가는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 무뚝뚝하게 등장하는 '핀(fin)'이라는 단어처럼 표현 대상과 시네마틱한 장면을 구성하는 영화적 방식을 차용해 텍스트를 탐구하고 실험한다. 이를 위해 선, 선의 곡선, 부피, 움직임을 탐구하고 시각적 정보, 색, 모양이라는 추가적인 층으로 만들어낸다. 다른 작품에서 야나이는 유명한 작품이나 시각적 이미지를 인용하여 관객들로 하여금 그 심상의 미학과 의미를 재발견할 수 있게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탄생시킨다. 우리의 일상을 구성하는 제스처, 형태, 색채를 관조하고 재평가하도록 초대하는 것이다. 전시작가 가이 야나이―“Hence Proust’s assertion that the greatness of works of art has nothing to do with apparent quality of their subject matter, and everything to do with the subsequent treatment of that matter. And hence his associated claims that everything is potentially a fertile subject for art and that we can make discoveries as valuable in an advertisement for soap as in Pascal’s Pensées.”- Alain de Botton on Marcel ProustAlain de Botton’s words on Marcel Proust encapsulate a fundamental aspect of Guy Yanai’s artistic practice – in his paintings, ordinary objects and mundane moments are carefully attended through the artist’s iconic style and color palette. Yanai flattens and abstracts everyday scenes, while his brushstrokes lend the artworks a unique volume. The works are about the painter’s treatment of his subject matter, which may originate from various semantic fields – high or low, particular or universal. The same reasoning can be applied to Yanai’s fascination with the cinematic image. There, too, he is drawn to multiple themes and scenes – It is the manner in which human figures, still-life objects, and the scenery come together; the juxtaposition of bodies, objects, and colors; the textures that compose the everyday, that inspire him. His oeuvre revolves around shape and color, the painterly process, and the moment an object becomes an artwork. It sits on the fine line between the subject and its interpretive portrayal. “Blue Hour”, in this sense, is an epitome of the everyday as perceived from a painterly perspective – a daily occurrence of twilight that diffuses soft blue light, coloring its surroundings in hues that instill a serene atmosphere and emotion. The works, exhibited for the first time, are specifically influenced by film shots by Éric Rohmer, characterized by long descriptions of quotidian activities immersed in bright sunlight and picturesque setting.In this new body of work, Yanai introduces a novel subject matter – text. Intrigued by the relation between text and image in cinema – such as the word “fin” that bluntly appears in the final shot of a movie – the artist explores and experiments with text in a similar fashion to the way he manipulates objects and cinematic scenes. He examines the lines, their curves, volume, and movement, and treats them as an additional layer of visual information, color, and shape. In other works, Yanai quotes notable artworks or visual imagery, appropriating them using his identifiable style in a manner that allows the viewer to rethink these artworks, their aesthetics, and their meaning. As a whole, this new series invites us to contemplate and reevaluate the gestures, forms, and colors constituting our daily lives. Artist Guy Yanai   일자 2023. 06. 28 ~ 2023. 07. 31 장소 서정아트 강남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47길 12  
06-14
짙은 녹색 안으로 Into the Dark Green, 서정아트 부산
도심 속 포스트 아포칼립스《짙은 녹색 안으로》 빛서정아트에서 진행되는 《짙은 녹색 안으로》 전시는 도심에서 초록빛 식물 군락을 공통적으로 만들어내는 밍예스, 풀림 두 작가의 작업을 탐색하고, 두 작가들이 만들어낸 도심 속 새로운 차원을 관람객에게 선보이기 위해 기획되었다. 밍예스(Mingyes) 작가는 대표 작업인 'Association'을 비롯한 다양한 작업을 통해 빛을 향해 성장하는 식물의 균형잡기를 보여준다. 또한, 'Moss Series'를 통해 증식하는 이끼의 크기 및 형태 변화의 모습을 보여주며 주변 환경에 적응하며 끊임없이 성장하는 식물의 모습을 보여준다. 풀림(Pulrim) 작가는 대표작인 <풀바다> 시리즈를 통해 불규칙적으로 흩날리는 식물의 이파리들을 하나의 리듬처럼 묘사하며, 도심 속 가공된 자연의 패턴 이미지를 교차시키고 매 순간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자연의 모습이 과연 자연스러움이 맞는지에 관해 질문을 던진다. 자연 그 중에서도 식물의 군락을 촉각과 시각적 패턴으로 각각 표현하고 있는 밍예스, 풀림 작가의 작업은 전시 공간은 현실과 분리된 세상처럼 이질적인 느낌을 준다. 투명한 유리를 경계로 삭막한 폐허처럼 변한 도심과 자연 사이의 중간계를 두 작가의 작품으로 가득 채우고 있다. 두 작가가 그려낸 자연은 실존과 허구를 넘나들며 또 다른 차원을 형성하고, 이는 우리에게 포스트 아포칼립스를 예견하게 한다. 전시작가밍예스, 풀림 ―《Into the Dark Green》 at Seojung Art presents the works of Mingyes and Pulrim, exploring their shared endeavor of cultivating green plant communities within urban settings. This exhibition aims to present viewers with a novel dimension of the urban realm as envisioned by these two artists.Mingyes showcases the delicate equilibrium of plants growing towards the light through various works, including her signature piece, 'Association'. Meanwhile, her 'Moss Series' portrays the metamorphosis in size and form of proliferating moss, unveiling the ceaseless growth and adaptation of plants within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Pulrim captures the irregularly scattered leaves of plants, composing them into a rhythmic harmony in her series. In this series, she intertwines images of processed patterns of nature within the urban landscape and questions the authenticity of the nature we encounter.Mingyes and Pulrim, each representing plant communities through tactile and visual patterns, infuse the exhibition space with an uncanny atmosphere, reminiscent of a realm detached from reality. The works of these two artists saturate the intermediate space between the urban center and nature, transforming it into an austere ruin that can be visible behind transparent glass. Their depiction of nature transcends reality and fantasy, forging an alternate dimension that hints at a glance of the post-apocalyptic future.Artist Mingyes, Pulrim  일자 2023. 06. 14 ~ 2023. 07. 15 장소 서정아트 부산 부산 해운대구 달맞이길 30 엘시티 제포디움동 3F  
06-14
Instead of a Result, a Process, M5 Gallery
Instead of a result, a process  A cross-generational investigation on the painterly process and its tridimensional extension in contemporary Korean art. Historically, in Korean art, the role of gesture and method has held significant importance in artistic practice, becoming indexical of the wider motifs that inform the making of art itself, blending them in that specific moment in which the brush touches the canvas, or the hands mold or assemble the sculpture. This processual element becomes the focal point of investig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four artists presented, all developing a specific style profoundly iterative in its conversation with the semantic field it expresses. Deriving from Jacques Lacan’s psychoanalytic investigation of the artwork and its ability to convey at once the real, the symbolic, and the imaginary realms, this exhibition aims to portray how the gestural process, serving as a door to such fields of inquiry, has enabled the artists to manifest their complex cosmologies into various degrees of abstraction, alteration, sublimation, accumulation, and synthesis. Featuring four cross-generational Korean Artists - Lee Chounhwan, Hong Soun, Hong Seongjoon, and Phee Jungwon - the show delves into the cor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s’ subject of investigation, and how its presence influences, determines, and transforms the practice of pictorial and sculptural rendering.Lee Chounhwan (b.1956) originally started his pictorial practice with traditional ink paintings, then embarked on a journey through complete abstraction and lining into color field painting throughout the decades. This stylistic transformation has been a result of ongoing interest and inquiry into the element of nature, searching for that element of the fundamental truth that encompasses all things existing through its laws. The three works presented at M5 are part of the “Light+Grain Series”, one that is characterized by pure abstraction, rendering on canvas through the dots and lines the profound act of meditation done in order to absorb and understand light, to then reveal its depth and essence through the gradients presented on canvas. Hong Soun(b.1959) reinterprets the modalities of perception of landscape, touching both the realm of the real and its reconstruction through the alteration of visual memories. Interested in the peculiar yet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terror and beauty presented in the human psyche when in front of nature in both its peaceful and disastrous force, Hong’s practice derives from an ongoing quest for the properties of the Kantian essence of the sublime. The two paintings presented - 불풍경 (2022), and 비스듬한 기억-바다 (2022) - are part of the “Sidescape” series, in which Hong recontextualizes images from natural, human, or socio-political aspects by focusing on specific segments in order to recombine them on canvas, fragmenting and reconstructing a perception with a newfound property that transcends the realm of the real, entering its symbolic connotation. In a similar manner, for the sculptural work 팽목(2015), as part of the Memoryscape series, the artist works with objects trouvée in sites of disasters or accidents as eyewitnesses with soaked memories within them. By combining the various objects and wrapping them with many layers of plastic and fabric, the sculpture acquires an amorphous shape in which the objects contained are unidentifiable. By doing so the sculptural work becomes a bearer of forgotten memories. Hong Seongjoon (b.1987) focuses on the study of painting and its perception, in a personal evolution of what the psychological element of gestalt would recognize as the investig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various elements in their combination. For the artist, this process is conceptualized and rendered through the act of layering, in which the modalities of perception and their rendering on canvas found their way in a synthetical transformation. If the observer can only perceive the result of the act of blending layer over layer into canvas, this minimal rendering is only the final manifestation of a much more meticulous process. Starting from a photographic matrix, the pictures taken are then dissected into their color elements and then juxtaposed one by one. The pictorial practice becomes not only an exercise style but also an investigation of the inner self through abstraction. For Jungwon Phee(b.1993), abstraction is both an aesthetic, gestural, and symbolic field for the investigation, representation and perhaps resolution of the memories of the self. In this ongoing generative tension, rendered in a pictorial process of confluence, the artist uses firstly Korean black ink (묵) or gesso as pure abstraction and negative space, to then coating layers of thick and intense matière able to channel and elaborate a process that breaks the controlled unconscious of the negative space in each crack and aggregation. The large-scale painting presented, part of the “Black Path” series, invites the observer to delve into the powerful property of art of speaking to the self and of the self, mirroring our gaze, and unveiling its metexical property and auratic dimension: the semantic field of the artwork is activated only in relation to its observer, opening an intimate conversation for everyone to delve into.In the work presented at M5 gallery, the four artists embody at large the ongoing and fundamental quest of both art as a philosophy and a practice for the sublimation of inner and outer cosmologies into gesture. This processual path is an endless journey, which finds its peculiar resolution in time, but never stops, as it represents the very property of techne’ - the ability to make art - tackling, one by one, the inspirations and challenges that make this discipline so intrinsically bound and necessary to human existence. Artists Lee Chounhwan, Hong Soun, Hong Seongjoon, Phee Jungwon   일자 2023. 06. 14 ~ 2023. 06. 20 장소 M5 GalleryShin Yurakucho Bldg.1F, 1-12-1Yurakucho, Chiyoda-ku, Tokyo, Japan   
06-12
Reinterpretation, 서정아트 강남
우리가 마주한 모든 것들의 이야기: 구성적 기억과 재해석(Re-Interpretation)서정아트 상반기 기획전 “Reinterpretation”은 재구성이라는 큰 틀 안에서 파생한 네 가지의 테마로 엮은 전시로서, 시각적 현상과 내적 감각의 발현에 집중하여 이를 메타적으로 들여다보고자 국내, 외 작가 8인의 작업을 조명한다. 작업의 서사는 관객에게 닿는 일차적 관문인 공간뿐만 아니라 그곳을 점유하는 여러 요소들에 의해 늘 다르게 측정되고, 해석되어왔다. 구성적 기억(Constructive Memory)의 결과이기도 한 생각을 편집하고 각색하고 필요에 따라 미화도 멈추지 않는 작가들의 감각적 산물은 우리가 마주한 모든 것들이 결국 개인의 경험에 의해서 다르게 받아들여지고 재구성된다는 것을 인지하게 한다. 전시 주제인 ‘Reinterpretation’의 시작은 보이지 않는 사유와 가시적 시각물 사이의 균형과 호흡에 주안점을 두고 시작한다. ‘Theme 1 – Scenery, Image’는 자연물에서 얻은 심상이 직관적 형태를 떠나 완전한 추상의 형태로 이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안나 멤브리노(Anna Membrino)의 작업은 자연에서 빌려온 소재에서 몇 가지 특징을 추출해 내적 시선이 전하는 아름다움을 캔버스에 담는다. 노은주(Rho Eunjoo)의 ‘Plant’ 연작 역시 스쳐 지나가는 도시의 한 장면을, 또 어느 한순간 특정 부분을 편집하는 방법으로 불완전한 기억에서 오는 모호한 감정을 상징적으로 묘사한다. 전시장 우측으로 이어지는 김채린의(Kim Chaelin)의 크고 작은 조각은 정적이고 고요한 심상을 깨뜨리며 현란한 색채로 물들어 곳곳에 놓여있다. 한정된 공간에서 할 수 있는 최대치의 유희(遊戲)를 유도하며 작품과 작품 사이의 거리를 확장하는 작은 조각들은 관람자로부터 스스로 놀이하기를 요구하기도 한다.‘Theme 2 – Expression’와 ‘Theme 3 – Movement’ 에서는 움직임을 지각하는 존재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이 테마에서는 일상 속 풍경을 모노톤의 주조색으로 처리하여 색다른 시선으로 볼 것을 제안하는 정지윤(Jeong Jiyoon)의 작업과 비언어적 감각을 깨우고 한발 더 나아가려는 김찬송(Kim Chansong)의 작업을 볼 수 있다. 새롭고 낯선 시각으로 신체의 일부분을 확대한 김찬송의 화면은 물감 덩어리들이 맞닿아 겹침으로써 완성된 작가만의 신체적 언어이다. 물감을 뿌리고 흘리는 드리핑 기법으로 회화의 고유한 물성과 특징을 드러낸 정지윤의 작업 또한 전시에서 궁극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재구성의 한 부분이다.  ‘Theme 4 – Space, Studio’에서는 데미안 엘위스(Damian Elwes)와 정수영(Chung Sooyoung), 브라이언 라이더(Brian Rideout)를 소개한다. 데미안은 우리에게 익숙한 서양의 고전 화가들의 스튜디오를 재현하고, 재구성해서 사적인 공간을 공적 영역으로 치환한다. 그는 한 사람이 머물던 공간을 물리적 관점으로만 보지 않고 하나의 사조가 탄생한 최초의 시발점으로 여겨 ‘신성한’ 출발 지점이라 여긴다. 또한, 개인의 사적 영역이 내밀하게 드러나는 정수영(Chung Sooyoung)의 작업은 정제된 구도와 틀을 벗어나 자연스러운 일상을 보여주며 새로운 의미를 생성한다. 정수영의 작품 속 각종 오브제들은 포토샵과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해 재배치되어 타인에게 자신의 내면을 내비치는 기능을 한다. 브라이언 라이더(Brian Rideout)는 온-오프라인 인쇄물에서 발췌한 각종 현대적 이미지들을 차용해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전유(appropriation)의 한 방식을 택한다. 정적이고 평범해 보이는 작품 속 공간의 이미지는 불변하는 요소와 가변적인 요소가 공존하는 시대만의 전유물이기도 하다.8인의 작업이 나타낸 재구성의 방식은 교란되어 나타나는 시각적 이미지 안에서 하나의 줄기를 찾아 꿰어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기억과 경험을 통해 얻은 결과물에 관객을 초대하여 페인팅과 조각, 추상과 구상, 또 과슈 작품이 어우러져 함께 호흡할 것을 기대한다.전시작가 김찬송, 정지윤, 데미안 엘위스, 정수영, 브라이언 라이더, 안나 멤브리노, 노은주, 김채린  ―The Story of Everything We See : Constructed Memory and Reinterpretation "Reinterpretation," Seojung Art's special exhibition for the first half of the year, consists of four themes stemming from the concept of reconstruction. It showcases the works of eight Korean and international artists who explore visual phenomena and the manifestation of inner sensations in a metaphysical way. The narrative of an artwork has always been perceived and interpreted in diverse ways, not only through the physical space that serves as the primary entry point for viewers but also through the multitude of aspects that inhabit it. The artists' sensoriums, shaped by the process of editing, adapting, and, if necessary, aestheticizing thoughts as a result of "constructed memory," remind us that our perceptions and reconstructions of everything we encounter are ultimately influenced by our individual experiences. The exhibition theme of "reinterpretation" begins by examining the balance and interplay between the invisible (thought) and the visible (visual products).'Theme 1 - Scenery, Image' delves into the progression of imagery derived from natural objects as it evolves from its intuitive form to a fully abstracted one. For instance, Anna Membrino's work captures the sense of beauty conveyed by the inner gaze on her canvases by extracting certain features borrowed from nature. Similarly, Rho Eunjoo's Plant series captures fleeting cityscapes and the ambiguous feelings that arise from incomplete memories through selective—spontaneous—editing. In contrast to the two-dimensional works of the other two painters, Kim Chaelin's large and small sculptures disrupt the static and tranquil atmosphere. These small sculptures extend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 and the viewer, inducing the utmost playfulness possible in the limited space, and even demanding the viewer's engagement for play.In 'Theme 2 - Expression', 'Theme 3 - Movement', This theme showcases the work of Jeong Jiyoon, who suggest seeing the scenery in daily life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by treating it in a monochromatic colors and Kim Chansong who aims to awaken the non-verbal senses and push them one step further. This fresh and unfamiliar perspective, of the magnified view of a body part painted by the overlapping, and at times bifurcating, strokes of paint, has become a unique language about boundaries for the artist. Additionally, the dripping technique employed by the artist, involving splattering and spilling paint, serves to highlight the distinct materi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ints that she aims to convey. On the second floor of the exhibition hall, ‘Theme 4 – Space, Studio’ introduces Damian Elwes, Chung Sooyoung, and Brian Rideout. Damian Elwes recreates and reimagines the studios of renowned Western masters, transforming the private into the public sphere. Elwes sees the space occupied by these individuals not only in a purely physical sense but also as a "sacred" entry point and the birthplace of a school of thought. Also, Chung Sooyoung's work departs from refined compositions and frames, revealing the private sphere of the individual in an intimate manner and presenting everyday life in a natural way to create new meanings. Various objects in her works are rearranged through Photoshop and computer programming to reveal the artist's inner world to the viewer. Meanwhile, Brian Rideout employs a method of appropriation in his reconfigurations of contemporary images sourced from online and offline prints. The seemingly still and ordinary images of space in his work embody a moment in time where the immutable and the variable coexist.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demonstrated in the works of these eight artists can be described as a journey of finding a single thread amidst the fragmented visual images and weaving it into a coherent whole. They invite viewers to participate in the outcomes of their memories and experiences and expect them to breathe in unison with their paintings and sculptures, abstractions and conceptualizations, and gouache works.Artist Kim Chansong, Jeong Jiyoon, Damian Elwes, Chung Soo-young, Brian Rideout, Anna Membrino, Rho Eunjoo, Kim Chaelin  일자 2023. 05. 12 ~ 2023. 06. 19 장소 서정아트 강남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47길 12  
05-03
Shin Bongchull : High Touch, 서정아트 부산
이신봉철 : High Touch 빛과 유리를 매체로 탐구를 이어가는 신봉철 작가는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졸업 후 뮌헨으로 건너가 Academy of Fine Arts에서 학위를 마치고, 현재 독일에 거주하며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다. 전시명 High Touch는 시간과 종교, 철학과 예술의 풍부한 감성 렌즈를 통해 삶을 재조명하고 정화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본 전시를 통해 작가가 만들어낸 새로운 감성과 감각의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작가는 부모님의 화훼 농장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색과 자연에 대한 변화와 리듬을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었다. 이후 유럽에서 표현주의와 구성주의, 미니멀 아트를 직접적으로 배우고 경험하며 시각 예술의 주요한 측면을 작업으로 발전시켜왔다. 독일 표현주의 작가들의 작품에 사용된 색을 분석해서 유리에 입히고, 빛을 투사하여 벽에 투과된 그림자 빛으로 원작을 재생산, 재해석하는 《Cubes & Stripe》 시리즈와 인용한 시구나 노랫말을 깨진 병 조각으로 만들어 텍스트의 기호와 기의를 충돌시키고 텍스트를 새로운 맥락으로 끌고 들어가는 작업인 《Broken Letters》는 작가의 대표 시리즈이다. 특히 《Cubes & Stripe》 작업에서는 빛과 색, 공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미니멀 아트의 핵심 요소들이 더 입체적이고 순수하게 구현되는데, 미술사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에서 모티브를 잡아 유리를 재료로 정제된 몸체를 만들고 색과 함께 자유롭게 구상한다. 사각기둥, 삼각기둥의 직각인 표면과 미학적 명석함이 돋보이는 색 배열은 작가가 감각한 세계의 최대치와 보편 사이의 균형을 만들어낸 결과다. 《Broken Letters》는 작가의 언어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된 작업이다. 유리 파편으로 제작된 문구와 인용문은 형태와 의미 사이에 갈등을 유발하고, 이 갈등을 통해 언어는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고 성장한다. 메시지 자체가 작품의 중심이자 표현의 수단으로 특징지어진 위의 시리즈는 깨진 병의 날카로운 유리 조각으로 인해 위험해 보인다. 그러나 동시에 색과 함께 유기적인 형태로 인해 싱그러운 나뭇잎이 비유적으로 떠오르며 양가적인 심미적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각 시리즈의 대표작들과 모터를 이용한 회전하는 프리즘 작업, 2023년 신작까지 두루 살펴볼 수 있다. 매체 간의 조화로운 상호작용으로 파생된 다채로운 색의 스펙트럼과 미학적으로 극대화된 아름다운 빛의 공간을 본 전시를 통해 오감으로 경험해보시길 바란다. + 신봉철 작가는 2019년 인천 파라다이스시티 아트 스페이스의 첫 번째 기획전 《프리즘 판타지: 빛을 읽는 새로운 방법》에 국내외 유명작가 11인 중 1인으로 참여한 바 있으며, 현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융·복합 콘텐츠 전시 《사유정원, 상상 너머를 거닐다》에서 올해 8월까지 그룹전이 진행 중이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덴마크, 중국, 레바논 등에서 다수의 그룹전과 개인전을 열었고, 뮌헨국제공항, 알렉산더 투섹 재단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전시작가신봉철 ― Shin Bongchull is an artist who uses light and glass as his medium of choice to explore his artistic vision. Shin graduated from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later completed his degree at the Academy of Fine Arts in Munich. Currently, he resides in Germany and works around the world. The exhibition title "High Touch" suggests a process of re-examining and refining life by exploring its deeply emotional aspects through the lenses of time, religion, philosophy, and art. Shin's intricate compositions, made from glass and light, coupled with a rich spectrum of colors, present new aesthetic possibilities. Shin's formative years were spent amidst the vibrant changes and natural rhythms of color on his parents' flower farm. Later on, during his sojourn in Europe, he delved into the artistic movements of Expressionism, Constructivism, and Minimalism, which played an integral role in shaping and refining his visual artistry. Shin is best known for his signature series, Cubes & Stripe, in which he examines the colors used by German Expressionists, applies them to the glass, and projects the light onto the wall to reproduce and reinterpret the originals. His other series, Broken Letters, features broken bottle fragments of quoted poems or songs, colliding symbols and signs of the texts and drawing them into a new context. Shin's Cubes & Stripe series embodies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minimal art in a more dynamic and purer form through the interplay of light, color, and space. By drawing inspiration from art history, Shin deftly employs glass as a medium and creates a refined form as he freely experiments with color. The right-angled surfaces of the square and triangular columns, along with the dazzling array of hues, demonstrate Shin's skillful ability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maximal and the universal, which reflects his perception of the world. Broken Letters is a series that was born out of Shin's interest in language. Using glass shards to fashion phrases and quotations, Shin creates a tension between form and meaning, imbuing language with fresh meanings and significance. In this series, the message itself serves as the focal point as well as a powerful means of expression. Although the works may appear dangerous with their sharp glass fragments, the organic forms and colors figuratively conjure up images of fresh leaves, lending to an ambivalent aesthetic experience. “High Touch” by Shin Bongchull will feature representative works from each series, as well as rotating prisms that use motors, and new works from 2023. We invite you to experience a space filled with light and sensory works, which can be perceived and savored with all five senses.+ Shin Bongchull was one of 11 renowned Korean and international artists who participated in Paradise Art Space's first special exhibition, "PRISM FANTASY: New Ways to View Light," in 2019. He is currently participating in a group exhibition, "Scenery of the Emptiness and Asia," as part of ‘ACC Convergence: The Exhibition of Digital Media and Technology’ until August of this year. He has held numerous group and solo exhibitions in countries such as Germany, France, Italy, Denmark, China, and Lebanon, and his works are housed in various collections, including the Munich International Airport and the Alexander Tutsek Foundation.Artist Shin Bongchull   일자 2023. 05. 04 ~ 2023. 06. 08 장소 서정아트 부산 부산 해운대구 달맞이길 30 엘시티 제포디움동 3F  
04-14
피정원: Into the black light, 반얀트리 서울
반얀트리 서울 클럽동에서는 2023년 두 번째 아티스트 탐색 프로젝트로 현재 아트씬에서 주목해야 할 신진 작가인 피정원(b.1993)의 작업을 선보입니다. 캐나다 유학 생활을 시작으로 미국 Pratt Institute에서 파인 아트를 수석 졸업, 미술사를 부전공하고 미국과 한국을 오가며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2023년 3월 28일부터 6월 5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과거의 주관적이고 불완전한 기억과 경험을 토대로 순수한 추상을 지향하는 작가의 대표적인 회화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작업의 큰 제목은 Untitled(무제)이지만 시리즈에 따라 여러 개의 부제로 나뉘는데,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The Black Path 시리즈를 중심으로 작품을 소개합니다. The Black Path는 동양의 검은 먹과 서양의 블랙 젯소를 사용하는 모든 작업의 시작으로 작가의 작업을 이해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시리즈로 꼽을 수 있습니다. 과거의 특정 시간과 공간에 대한 작가의 해석이 담겨있는 본 작업은 검은 바탕과 마티에르, 크랙(crack)이 특징입니다. 오래된 과거의 기억일수록 검은 배경이 많이 나타나며, 글로시(glossy)한 느낌의 바탕은 작가가 현재까지 연결된 특정 기억을 새로운 조형언어로 구현해 낸 것입니다. 작가는 유학 시절 멕시코 여행에서 목격한 동굴 벽화에서 첫 영감을 받았습니다. 사적인 염원을 원초적인 회화의 형태로 표현한 동굴벽화는 내면의 의식을 시각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작가의 작업 철학과 유사한 철학을 가집니다. 작가가 사용하는 재료는 물, 공기, 열 등에 의해 결합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균열은 주관적 기억의 ‘불완전성’을 의미합니다. 균열 위에 여러 겹의 덧칠로 만들어진 추상적 마티에르는 작가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수단이자 지나온 시간과 현재를 대변하는 것으로 스스로를 시각적으로 투영하는 매개체입니다. 관람자들이 각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을 느끼고 해석하여 개개인의 주체적 의식을 고양하고 변화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보시길 바랍니다. 작가의 최근 주요 개인전으로는 〈합 : Confluence〉 (서정아트 강남, 서울, 2022), 〈Emotional Layers〉 (성남아트센터, 성남, 2022), 〈Jungwon Phee〉 (The Untitled Void, 서울, 2022), 〈Black Period〉 (East Hall Gallery, 뉴욕, 2018) 등이 있으며, 〈New Oriental Waves〉 (M컨템퍼러리, 부산, 2022), 〈BE(比)hind Story〉 (서정아트센터, 서울, 2021) 등의 단체전에 참여하였습니다. 작품은 서울특별시청 박물관과 Pratt Institute, 순천현대미술관 등의 주요 기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일자 2023. 03. 28 ~ 2023. 06. 05 장소 반얀 트리 클럽 & 스파 서울 (서울시 중구 장충단로60, 클럽동 로비)Banyan Tree Club & SPA Seoul (Jang Chung Dan-Ro 60, Jung-Gu, Seoul, Korea) 
03-23
HWANG DOYOU : Innocent Blossom, 서정아트 강남
황도유의 그림을 설명하는 수식어들은 다양하지만, 그 중 모든 감상자들이 공통적으로 선택하는 단어는 바로 ‘순수함’일 것이다. 황도유가 작업을 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순수한 회화성을 탐구하는 것이고 이전부터 꾸준히 작품의 기반으로 삼아 온 방법론은 ‘일획론(一畫論)’이다. 이는 중국 청초의 승려화가인 석도(石濤)의 회화 이론으로, 모든 것은 한 획에서 출발하여 그 획 안에 우주와 그 너머의 모든 것이 담겨있음을 의미한다. 황도유 작가는 일획론을 자신의 언어로 재해석하여, 다른 도구로 대체할 수 없는 손 그리고 감각에 의탁한 표현을 추구하며 모든 표현을 일획으로 시작하여 일획으로 마무리 짓고자 한다. 황도유의 작품에 주로 등장하는 소녀, 즉 앨리스는 작가가 오래전 받은 기묘한 감회에서 비롯되었다. 작가는 어느 겨울 아침 친척 여동생들과 산책을 하다가 시골의 물가에서 피어오르는 물안개와 소녀들이 어우러진 몽환적인 풍경에서 신비로운 인상을 받았고, 그 광경은 작가의 작품 세계의 근간이 되었다. 풍경 속의 신비로운 소녀들은 앨리스라 이름 붙여졌으며 현재까지도 작가에게 가장 중요한 뮤즈(Muse)로 기능하고 있다. 한편 첫 붓질의 흔적을 마지막까지 남겨두려는 작가의 기법 또한 특유의 순수성을 더욱 강조하려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 황도유는 자신의 손을 가장 중요한 도구로 여기며 첫 붓질의 흔적을 그대로 보존함으로써 붓질 당시 손의 미세한 떨림과 획의 방향, 작업의 과정을 숨김없이 보여준다. 이는 작가가 생각하는 가장 순수한 회화를 추구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이번 전시에서는 황도유 작가 특유의 몽환적인 분위기의 앨리스들을 보다 더 높은 채도와 다채로운 색감으로 만나볼 수 있다. 긴 겨울이 끝나고 찾아온 새로운 계절을 축하하듯, 황도유의 캔버스 위에는 환희의 색채로 가득하다. 기존의 앨리스들이 그 모습을 보여줄 듯 말 듯 신비로운 매력을 자랑했다면, 이번에는 그런 기묘한 분위기에 특유의 색감으로 생기와 활력을 더했다. 이 소녀들은 작가 특유의 첫 붓질의 흔적을 남겨 두는 기법과 결합하여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데, 이는 단순히 아름다워 보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태초의 야성이 느껴지기도 한다. 이는 아마 작가에게 있어 순수함이란 단순히 맑고 고요한 것이 아닌 회화의 근원적 에너지를 탐구하는 과정이기도 하기 때문일 것이다. 《Innocent Blossom》 에서는 이처럼 순수하고 신비로운 소녀들의 이미지에 모든 것이 새로 움트는 계절의 생동감을 더했다. 황도유가 늘 탐구하고 있는 가장 순수한 회화 그리고 이를 구성하고 있는 최소한의, 그리고 필수적인 요소들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한층 더 깊고 다채로워진 황도유 작가의 앨리스들을 만나게 되기를 기대한다. 전시작가황도유―HWANG DOYOU : Innocent Blossom Hwang Doyou's paintings can be described in many ways, but one quality that all his audiences can agree on is "purity." His ultimate goal is to explore pure pictoriality, which he achieves through various methods, including his signature technique: the Holistic Brushstroke. This theory, originated by the Qing dynasty's Buddhist monk artist Shih T'ao, proposes that all things begin with a single stroke, which contains the universe and everything beyond. Hwang has translated this idea into his own languag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hand and the senses in creating an expression that starts and ends with a single stroke. This approach allows him to achieve a unique and sensual expression that cannot be replicated by other tools.Hwang's works often feature a recurring character–a girl, named Alice–who is deeply rooted in the artist's personal–a strange, mystical–experiences. Hwang was once captivated by a surreal sight of girls and mist rising from the water in the countryside while on a winter walk with his sisters, and this impression has since become a defining feature of his work. The mystical girls in the landscape, all named Alice, have become the artist's most significant source of inspiration, a muse, and continue to be the central motif in his paintingsIn "Innocent Blossom," Hwang Doyou's signature dreamlike Alices are brought to life with greater saturation and color. Celebrating the new season after a long winter, Hwang's canvases are filled with colors of joy. While his previous Alices boasted an air of mystery and mystique, this time around, the artist infuses that ethereal atmosphere with life and vitality with his signature palette. When combined with the artist's unique technique, these girls create a distinctive atmosphere that not only makes them beautiful but also imbues them with a sense of primeval wildness. This may be because, to the artist, purity means more than just clarity and serenity; it is also about exploring the fundamental energy of painting."Innocent Blossom" brings together Hwang Doyou's signature innocent and mysterious girl characters with the vibrant colors of a new, blooming season. The exhibition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purest form of painting, with a focus on the minimal and fundamental elements that Hwang has always explored. We invite you to explore the deeper and more colorful world of Hwang Doyou's Alices through this exhibition.ArtistHwang Doyou   일자 2023. 03. 17 ~ 2023. 04. 26 장소 서정아트 강남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47길 12  
03-13
Enthusiasm : A Waking Mountain, 서정아트 부산
이춘환, 전통과 혁신《Enthusiasm : a waking mountain》은 이춘환 화백이 지난 20년간 지속해온 산의 기운 연작의 최근 신작들을 두루 살피는 기획전이다. 그는 1988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매일 규칙적으로 작품에 몰두하며 묵을 중심으로 한 수묵화부터 아크릴을 주재료로 한 캔버스 작업까지 작가의 목표와 작품이 나아갈 길을 정직하게 보여주고 있다.산의 기운은 그의 작품세계를 관통하는 미학을 계승하는 동시에 작가의 전체 작품세계를 이해할 때 가장 중요한 시리즈로 꼽을 수 있다. 그는 본격적으로 작업을 시작한 198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매우 체계적으로 작품 제작의 단계를 밟아왔다. 이러한 열의와 탐구는 작가 자신에게 필요에 의한 진전의 과정이었을 것이며, 큰 흐름에서는 더욱 순수한 추상으로 이르는 과정이었다.캔버스에 아크릴을 주재료로 사용해 산의 기운을 표현하는 방식은 초창기 전통적인 수묵화 작업 이후 점진적으로 변혁을 맞이해왔다. 지금껏 이 화백의 산의 기운 연작은 세부 내용을 덜어내고 단순화시킨 색, 면으로 산의 기운을 표현한 조형의 힘으로써 우리에게 자연의 정수를 느끼게 했다. 이번 기획전의 근작들 또한 형태와 색채에 대한 작가의 헌신적인 탐구로 더욱 정제된 선과 면, 엄선한 색으로 기본적인 조형 요소들이 긴장감 속에 모종의 균형감을 이루며 강렬한 에너지를 뿜어낸다. 같은 빨강 계열의 작품에서도 선홍, 다홍, 진홍 등 미묘한 차이를 지니며 기본 삼원색을 기반으로 하되 변주가 구사된 색들이 조화롭다. 장엄한 산맥과 떠오르는 태양을 암시하는 분홍빛 하늘은 이춘환 화백의 조형언어를 통해 직접적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에 다가가게 한다. 특히 일필로 제작된 산의 기운을 통해 일상적으로 만나는 자연의 요소들을 더욱더 회화적 언어로 추상화하는 화백의 집요한 실험 과정을 엿볼 수 있다. 형태를 점차 단순화시켜 큰 화면에 사방 면의 산이 보이는 시점의 조감도를 펼쳐내 더욱 자신감 넘치게 자연의 모습을 담아내거나, 직접 한지를 제작하여 요철 있는 표면의 재질감을 최대한 살리는 방식으로 작업한 신작은 앞으로 작가의 회화 언어의 발전에 어떤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 인지 주목된다. 작풍의 전환기를 겪으며 유사한 조형과 같은 계열의 색에서도 미묘한 차이를 드러내며 거대한 자연의 힘을 표현한 산의 기운 시리즈의 현재와 앞으로의 도달할 수 있는 작가의 경지를 이번 기획전을 통해 가늠해보려 한다.2023년 미술의 시대적 지형도 속 이춘환 화백의 신작을 두루 살피는 이번 전시는 작가의 작품 세계 속 선택과 방향 전환에 따라 변화하는 작품의 궤적을 쫓아가는 길라잡이가 될 것이다.전시작가이춘환 ―Enthusiasm : A Waking Mountain Lee Choun Hwan, Tradition and Innovation"Enthusiasm: A Waking Mountain" is a celebration of the latest additions to artist Lee Choun Hwan's The Mood of the Mountain series. This expansive series, spanning from ink paintings to acrylic paintings on canvas, is a testament to Lee's unwavering artistic journey of the past two decades. Starting from his first solo exhibition in 1988, Lee has shared his discipline, aspirations, and direction as an artist through the series.The latest installment of The Mood of the Mountain continues to reflect Lee's core aesthetic vision, which has been shaped and refined over the past four decades through dedicated and methodical artistic practice. This magnum opus reflects the artist’s passion and inquisitive spirit and provides a deeper insight into his journey towards pure abstraction. Lee expresses the vigor of the mountains in his paintings through the use of acrylic paint, a choice distinct from his earlier works in which he employed traditional ink. The series of Lee's paintings embodies the essence of nature through its subtle, muted color scheme and its formal representation of the mountain's energy as a plane.The latest works on display showcase Lee's focused exploration of form and color, exuding a vibrant energy. The interplay of basic formative elements creates a delicate balance, lending a sense of tension amidst refinement and precise lines and planes. The artist's use of color is a noteworthy feature, with Lee mainly utilizing primary colors but giving a harmonious and subtle variation within the same color families, such as bright red, deep red, and crimson. Lee invites the viewer to experience the beauty of nature through his unique formative language, as depicted in his representation of the majestic mountain range and the pink, sunshine-filled sky.Lee captures the essence of nature through abstraction by transforming everyday elements into a pictorial language, which is demonstrated through his ongoing experimentation with materials and techniques. The works on display feature several characteristics unique to Lee, such as conveying the energy of mountains with a single brushstroke, presenting the bold, large-scale depiction of a bird's-eye view of the mountains, or using Korean paper–that he creates himself–in a distinctive way to accentuate its unique surface texture. They collectively and ultimately allude to the direction in which Lee’s visual language may evolve. "Enthusiasm: A Waking Mountain" offers a glimpse into Lee's present and future direction with The Mood of the Mountain series, which showcases the immense power of nature. As Lee undergoes a transition in his artistic style, the series has developed to include subtle variations in shape and color. This exhibition will become an opportunity to observe the evolution of this series and the potential for Lee's artistry to reach new heights.We hope “Enthusiasm: A Waking Mountain" provides a glimpse into Lee Choun Hwan's work in the context of the 2023 art world and offers a guiding light for following the trajectory of his ever-evolving artistic choices and practice. ArtistLee Choun Hwan   일자 2023. 03. 07 ~ 2023. 04. 13 장소 서정아트 부산 부산 해운대구 달맞이길 30 엘시티 제포디움동 3F  
02-15
The other Face of Material, 서정아트 강남
서정아트는 《The other Face of Material》展을 개최하며 김기드온, 이시산, 정아사란, 허연화 작가의 작업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사물과 현상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할 수 없음에 집중하여, 사물과 현상의 경계와 이면을 탐색하는 작가 4 명의 작업들을 소개하기 위하여 기획되었다. 김기드온 작가는 조형원리의 기본을 이루는 점, 선, 면을 와이어 매시와 로프를 통해 시리즈 조형 작품을 만든다. 단순함의 미학을 구현하는 김기드온 작가의 조형 작품 시리즈는 규칙적인 패턴을 형성하여 견고한 실루엣과 세련된 조형미를 보여준다. 오브제, 가구 그리고 공간 작업을 이어가고 있는 이시산 작가는 자연과 인공물, 인간 사이의 관계에 대해 탐구하며, 소재가 가진 순수한 본질을 바탕으로 정제된 언어의 형태로 작업을 하고 있다.이시산 작가의 작품에서 주요 소재는 돌과 스테인리스 스틸이다. 자연물인 돌이 지닌 개별성과 인공적 재료인 스테인리스 스틸이 함축하는 인위적인 면은 두 물질의 공생을 통해 드러나며 이 둘 사이를 잇는 긴장감도 함께 전해진다. 정아사란 작가는 현실과 가상세계, 그리고 그 사이를 부유하는 비가시적인 데이터를 수많은 레이어를 통해 구현한다. 정아사란 작가에게 디지털 데이터는 더 이상 가상의 좌표값이 아닌 투명한 환각과도 같은 잔존물이다. 작가는 유동적인 디지털 데이터를 흐르는 액체처럼 표현하며 디지털 데이터들의 여정을 보여준다.허연화 작가는 다양한 형태의 조각물과 실크스크린 그리고 페인팅 등을 통해 물의 유동적인 속성을 자신의 작업에 접목시킨다. 작가는 물과 관련된 풍경들을 작업해오며 인체가 빈번하게 체감하는 일상적인 공감각에서 벗어나는 감각들을 찾아내고, 각기 다른 성질의 액체들이 자연스럽게 섞이듯 관련 없어 보이는 사물과 사건들에 이야기를 부여한다. 이로써 연결되는 상황을 작업에 구현하며 구획된 공간에서의 탈피를 시도한다. 《The other Face of Material》은 단순하게 정의되는 ‘물질’의 고정된 의미에서 벗어나, 드러나지 않은 물질의 숨은 의미를 찾아가는 여정을 탐구하는 전시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김기드온, 이시산, 정아사란, 허연화 4 명의 작가가 만든 물질의 여정에 함께하길 기대한다. 전시작가김기드온, 이시산, 정아사란, 허연화 ―The other Face of Material Seojeong Art is pleased to present 《The Other Face of Material》, a group exhibition featuring the works of Gideon Kim, Sisan Lee, Asaran Jeong, and Yeonhwa Hur. This exhibition focuses on the exploration of the boundaries and other sides of objects and phenomena through the eyes of these four artist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ir objection to dichotomous distinctions. Gideon Kim's series of sculptures are crafted using wire mesh and rope, forming points, lines, and planes that are fundamental elements of art. These sculptures embody the aesthetics of simplicity and feature regular patterns that create a solid silhouette and sophisticated aesthetic beauty.Sisan Lee's refined artistic language is based on the pure essence of materials. H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human-made artifacts, and humans by creating objects, furniture, and spaces. Lee often employs stone and stainless steel in his work, and the combination of the two materials emphasizes the individuality of the natural stone and the artificiality of stainless steel, which subsequently brings out the tension between the natural and the artificial.Asaran Jeong's layered works explore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and the unseen data that connects them. Jeong views digital data as an illusionary remnant, an ephemeral presence, rather than just a series of virtual coordinates. She uses fluid, flowing forms to express the movement and trajectory of digital data in her art.Yeonhwa Hur delves into the fluidity of water through various forms of sculpture, silkscreen, and painting. Hur often explores landscapes related to water, seeking out sensations that deviate from the daily experiences of the human body. She imbues seemingly unrelated objects and events with a story, similar to how liquids of different properties naturally blend together. Through this connectedness, Hur aims to break free from compartmentalized spaces in her work.《The Other Face of Material》 is an exhibition that delves into the discovery of the once-hidden, tacit significance of materials, going beyond conventional understanding. We invite audiences to join us as these four artists take us on a journey to uncover the unique qualities and potential—the other face—of various materials.ArtistGideon Kim, Sisan Lee, Asaran Jeong, Yeonhwa Hur   일자 2023. 02. 01 ~ 2023. 03. 08 장소 서정아트 강남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47길 12 
01-17
1 2 3 4 5 6 7 8 9
0

최근본작품

<1/0>